암 크기 증가와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정도의 연관성이 밝혀졌습니다. 연세대학교 육종인 교수 연구팀이 암 전이와 증식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체계의 조절 과정을 규명했다고 합니다.

우리 몸에 암이 발생하면, 그 크기가 커질수록 주변 림프절 및 다른 조직으로 전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죠. 그러나 반대로 암의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전이되는 경우도 있어, 암 전이와 증식의 관계는 여전히 비밀에 싸여있습니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전이에 관여하는 윈트(Wnt) 신호전달과 암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히포(Hippo) 신호전달의 상호조절 관계를 규명했습니다. 윈트 신호전달의 활성인자인 디셰벌드(Dishevelled)가 히포 신호전달의 조절인자인 YAP의 활성을 조절함이 밝혀진 겁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셰벌드는 인산화된 형태의 YAP과 결합하여 세포핵 밖으로 이송함해 YAP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막는다고 합니다.

디셰벌드가 YAP을 억제하지 않으면, 윈트 신호와 YAP이 동시에 활성화되면서 암이 확연히 증식합니다. 이는 종양억제인자(p53 또는 LKB1)가 손실되어서 YAP이 인산화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육종인 교수는 "이 연구는 암세포의 전이와 증식을 유기적으로 조절하는 신호 전달 조절 기전을 규명한 것입니다. 암의 예후 예측에 제대로 된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6월 12일 논문으로 게재됐습니다.
저작권자 © 이웃집과학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