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가 흘린 단서, 혈소판으로 잡는다
암세포가 흘린 단서, 혈소판으로 잡는다
  • 이상진
  • 승인 2019.07.02 17:45
  • 조회수 188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극미량의 체액만으로도 간단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UNIST 생명과학부의 조윤경 그룹리더 팀은 혈장에서 세포 정보가 담긴 나노소포체를 포획해 암을 진단하는 '혈소판 칩'을 개발했습니다.

극미량의 체액만으로도 간단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출처:기초과학연구원
극미량의 체액만으로도 간단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우리 몸속 수많은 세포들은 나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s)를 주고받으며 서로 소통하는데요. 세포에겐 나노소포체가 자신의 소식을 전하는 일종의 편지인 셈입니다. 이 때문에 암세포가 배출한 나노소포체를 분석해 암의 발생 및 전이를 진단하기 위한 연구들이 이뤄졌지만 수 많은 나노소포체 가운데 암세포 유래 나노소포체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암세포의 긴밀한 조력자인 혈소판에 주목했습니다. 암세포는 정체를 숨기기 위해 혈소판에 둘러싸인 형태로 혈액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데요. 또한 전이될 곳에 달라붙는 과정에도 혈소판이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암세포 나노소포체와 혈소판이 특별한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진은 혈소판 막을 이용해 암세포 유래 나노소포체를 쉽게 포획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을 고안했습니다.

 

우선 연구진은 미세유체칩 안에 혈소판 세포막을 바닥에 고정한 형태의 '혈소판 칩'을 제작했어요. 체내에서 혈소판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던 암세포는 혈소판 칩의 표면에도 결합하기 때문에 암세포에서 유래한 나노소포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해낼 수 있는 것이 원리입니다.

혈소판 칩의 작동 원리.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이후 연구진은 개발한 혈소판 칩을 이용한 암 진단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암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혈장 1µL(마이크로리터)를 혈소판 칩에 주입한 결과 정상인에 비해 암환자의 혈장에서 다량의 나노소포체가 검출됨을 확인했습니다. 

 

한편, 전이암세포 실험에서는 비전이암세포 실험보다도 더 많은 나노소포체가 검출됐습니다. 혈소판 칩에 검출된 나노소포체의 양을 토대로 암 발생 및 전이여부를 진단할 수 있음을 제안한 것인데요.

 

이번 연구는 암세포의 거동에 대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진단법을 개발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채취한 시료에서 나노소포체를 분리·농축해야 했던 기존 기술과 달리 별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 없고 항체 이용 방법보다 특이성, 민감성이 뛰어나 기존의 암 진단연구를 보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윤경 그룹리더. 출처:기초과학연구원
조윤경 그룹리더. 출처:기초과학연구원

조윤경 그룹리더는 "체내의 혈소판-암세포 친화력을 모방해, 암세포에서 나온 나노소포체를 검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는 복잡한 처리 없이 혈장을 그대로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극소량 샘플로부터 암세포 유래 나노소포체를 검출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됐습니다.


##참고자료##

 

  • Yoon-Kyoung Cho et al, "Human Platelet Membrane Functionalized Microchips with Plasmonic Codes for Cancer Detection",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Published Online(2019), https://doi.org/10.1002/adfm.20190266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