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으로 퇴행성 뇌질환 고친다
꽃으로 퇴행성 뇌질환 고친다
  • 함예솔
  • 승인 2019.09.25 22:00
  • 조회수 2028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반도의 토종 자생식물인 '제주상사화'에서 추출한 성분에서 강력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됐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소재연구센터 양현옥 박사팀이 밝혀냈는데요. 이번 연구는 천연물 및 식품 연구 분야의 국제 저널인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에 게재됐습니다.

치매는 무서운 병. 출처: fotolia
퇴행성 뇌질환은 무서운 병이죠... 출처: fotolia

질환 악화시키는 염증 반응

 

염증 반응은 다양한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생리 반응인데요. 외부 물질의 침입에 대항합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해지면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해 질환을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퇴행성 뇌 질환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에서도 예외는 아닌데요. 알츠하이머는 기억력이나 공간 지각력에 장애가 생겨 치매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실제로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뇌 조직에서는 과도한 염증 반응이 발생한다는 연구가 다수 보고됐습니다.  

제주 상사화. 출처:KIST
제주 상사화. 출처:KIST

이에 염증 반응을 막는 일은 중요한데요. 기존의 항염증 의약품들은 여러 부작용을 유발했습니다. 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 항염증 성분을 찾으려는 연구가 활발합니다. 

 

KIST 양현옥 박사는 이전 연구에서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활용해 염증 반응을 막았는데요. 알츠하이머 질환에서 주로 관찰되는 중추신경계의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유효 성분을 발견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상사화 추출물과 그 유효 성분에서 항염증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알츠하이머 질환의 증세를 제주상사화 추출물이 경감시킨다는 이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합니다. 

 

제주상사화 추출물, 염증 완화

 

KIST연구진은 제주상사화 추출물과 여기에서 유래한 활성물질 'E144(7-Deoxy-trans-dihydronarciclasine)' 성분을 분리해 각종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뇌 안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미세교세포(Microglia)의 다양한 염증 인자들이 추출 활성물질(E144)로 억제됐습니다. 참고로 미세교세포는 뇌의 회백질에서 많이 발견되는 비신경성 간질세포인데요. 신경조직의 노폐물에 식작용을 하며 뇌 신경계 염증 반응에도 기여합니다. 

자생식물인 제주상사화(CJ)의 알뿌리와 그로부터 분리된 항염증 물질인 7-Deoxy-trans-narciclasine(E144). 출처:KIST
자생식물인 제주상사화(CJ)의 알뿌리와 그로부터 분리된 항염증 물질인 7-Deoxy-trans-narciclasine(E144). 출처:KIST

이밖에도 KIST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질환이 유발된 유전자 조작 실험쥐에게  추출 활성물질(E144)을 투여했는데요. 쥐의 뇌 조직 내 염증 인자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걸 발견했습니다. 특히 대뇌피질 부분에서 염증이 억제되고 완화됐습니다. 

양현옥 책임연구원. 출처: KIST
양현옥 책임연구원. 출처: KIST

 

 

 

"이번 성과는 천연물 소재를 활용해 난치성으로 분류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치료용 의약품을 개발하는 데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특히 한반도 토종 자생식물인 제주상사화가 그 소재로 사용됐다는 점에서 국산 고부가가치 천연물 소재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KIST 양현옥 박사-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