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 꿈 기억 안 나는 이유
어젯밤 꿈 기억 안 나는 이유
  • 강지희
  • 승인 2019.10.15 22:25
  • 조회수 54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 알 것 같은데... 왜 기억이 안 나지...? 출처: pixabay
어... 알 것 같은데... 왜 기억이 안 나지...? 출처: pixabay

과학자들은 망각에 영향을 미치는 뉴런을 찾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었습니다. 미국의 신경과학자이자 SRI 인터내셔널 신경과학센터의 소장 Thomas S. Kilduff와 일본 나고야대학의 신경과학자 Akihiro Yamanaka의 연구진도 이를 연구했는데요. Kilduff의 연구진이 망각에 영향을 미치는 뉴런을 찾았습니다. <Science>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이 뉴런은 렘 수면 과정에서 망각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망각, 뇌에게는 필요해 

아냐...기억하고 싶지 않아! 출처: pixabay
아냐...기억하고 싶지 않아! 출처: pixabay

아침드라마에서 기억 상실은 단골 소재입니다. 기억 상실처럼 심각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반복 학습을 하지 않는 한 망각합니다. 망각은 기억의 특성이자 사람 뇌의 기본적 특징입니다. 뇌는 날마다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망각 과정을 거칩니다. 

 

뇌의 망각은 두 종류로 나뉩니다. 하나는 기억 자체가 소멸하는 '완전 망각'입니다. 한때 뇌 어딘가에 저장됐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희미해져 완전히 사라진 기억인데요. 완전 망각은 기억 입력이 강하지 않아 일어납니다. 중요한 내용이 아니라서 잊기도 하죠. 

 

다른 하나는 '유실 망각'입니다. 기억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뇌의 어느 영역에 저장돼 있지만 밖으로 인출되지 않는 망각인데요. 기억이 저장된 장소를 찾지 못했음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건망증입니다. 물건을 어디에 뒀는지 기억하지 못했다가 나중에 찾고나서야 물건을 둔 장소를 기억하죠. 입력이 제대로 됐지만 출력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어제 꾼 꿈 잊어버리는 이유

 

연구진은 시상 하부에 있는 멜라닌응집호르몬(Melanin-concentrating hormone, MCH) 뉴런이 망각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했습니다. 멜라닌응집호르몬은 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연구진은 MCH 뉴런이 잠을 자는 동안 기억을 파괴한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MCH 뉴런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했습니다. 쥐들의 기억력 검사를 수행하기 전 연구진은 MCH 뉴런을 마음대로 키고 끌 수 있는 유전적 도구를 마련했습니다. 

연구진은 장난감으로 실험을 했다. 출처: pixabay
연구진은 장난감으로 실험을 했다. 출처: pixabay

연구진은 우리 속 쥐들에게 작은 플라스틱 바나나와 나무 장난감을 제공했습니다. 연구진은 쥐들이 두 장난감의 냄새를 맡게 한 후 인위적으로 쥐들의 MCH 뉴런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했습니다. 그 후 연구진은 쥐들을 실험용 우리에 다시 넣고 장난감 중 하나를 새 것으로 교체했습니다. 연구진은 뇌의 주파수와 쥐들의 행동으로 쥐들의 변화를 관찰했죠.

 

실험 결과 MCH 뉴런이 활성화된 쥐들은 예전 장난감이나 새 장난감이나 똑같은 반응을 보였습니다. 쥐들은 어떤 장난감을 보고 냄새를 맡았는지 잊어버렸죠. 쥐들의 뇌는 예전 장난감이든 새 장난감이든 같은 주파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MCH 뉴런의 활성이 억제된 쥐들은 새로운 장난감에 더 많이 다가갔습니다. 쥐들은 예전 장난감을 잘 기억해 탐색할 필요가 없음을 느끼고 다가가지 않았습니다. 반면 새 장난감에는 강한 호기심을 느끼며 다가갔습니다. 연구진은 MCH 뉴런이 활성화될수록 망각이 더 강해진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는 렘 수면에 빠졌을 때 꿈을 꾼다. 출처: pixabay
우리는 렘 수면에 빠졌을 때 꿈을 꾼다. 출처: pixabay

연구진은 쥐의 뇌를 관찰했습니다. 분석한 결과 과반수 이상의 쥐(52%)가 렘 수면을 취할 때는 뇌에서 MCH 뉴런이 많이 발현됐습니다. 참고로 렘 수면이란 몸은 자고 있으나 뇌가 깨어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급속한 안구운동이 나타나며 꿈을 꾸게 만들죠. 반면 쥐가 깨어있을 때는 35%의 쥐만이 MCH 뉴런의 발현을 겪었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전기신호로 수면 중의 뇌를 추적했습니다. 분석한 결과 연구진은 MCH 뉴런이 활성화되면 섬유질의 축색돌기를 통해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로 억제 신호를 보냄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렘 수면에 빠질 때 MCH 뉴런이 기억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해마의 망각에 기여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Kilduff는 "꿈을 잊어버리는 이유도 MCH 뉴런과 연관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ilduff는 "우리의 연구 결과는 MCH 뉴런이 어쩌면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잊도록 돕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는데요. 그러면서 "꿈은 MCH 뉴런이 활성화되는 렘 수면에 발생한다. 뉴런의 활성화는 꿈의 내용이 해마 속에 저장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