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여성, '편향적으로 그려진다'
영화 속 여성, '편향적으로 그려진다'
  • 함예솔
  • 승인 2019.10.15 22:55
  • 조회수 400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이병주 교수 연구팀이 컴퓨터 비전 기술을 통해 상업 영화에서 남녀 캐릭터 묘사의 편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소셜 컴퓨팅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컴퓨터 기반 협업 및 소셜 컴퓨팅 학회(CSCW)'에 11월 11일자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성별 묘사 편향성 평가 위한 '벡델 테스트(Bechdel Test)'

 

일반적으로 영화에서는 여성 캐릭터의 성별 묘사 편향성을 벡델 테스트(Bechdel Test)를 통해 평가합니다. 벡델 테스트는 미국의 여성 만화가인 앨리스 백델(Alison Bechdel)이 고안한 개념입니다. 균형적인 성별 묘사를 위한 최소한의 요소가 영화에 반영됐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이죠.

벡델 테스트(Bechdel Test). 출처: Wikimedia Commons
벡델 테스트(Bechdel Test). 출처: Wikimedia Commons

벡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갖춰져야 하는데요. 첫 번째로 영화에 이름을 가진 여성 캐릭터가 두 명 이상 등장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여성들이 서로 대화를 나눠야하며, 세 번째로 여성 캐릭터들의 대화 주제가 남성 캐릭터와 관련이 없어야 합니다.

 

하지만 벡델 테스트는 여성 캐릭터의 대사만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캐릭터의 시각적인 묘사를 고려할 수 없고 여성 캐릭터 혼자 극을 이끄는 영화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닙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남성 캐릭터와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지 알 수 없습니다. 테스트를 통과하거나 하지 못하는 이분법적 잣대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성별 묘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충분히 대변하기 어렵습니다. 평가자가 영화를 보고 주관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미지 분석 시스템과 8가지 새로운 지표

 

이병주 교수 연구팀은 영화의 시간적, 시각적 특성을 반영해 성별 묘사 편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미지 분석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24프레임(fps) 영화를 3프레임으로 다운 샘플링했습니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얼굴 감지 기술(Face API)로 영화 캐릭터의 젠더, 감정, 나이, 크기, 위치 등을 확인했습니다. 사물 감지 기술(YOLO 9000)로 영화 캐릭터와 함께 등장한 사물의 종류와 위치를 파악했습니다.

이미지 분석 시스템. 출처: KAIST
이미지 분석 시스템. 출처: KAIST

연구팀은 2017년과 2018년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와 한국 영화 40편을 대상으로 이미지 분석 시스템을 통해 여덟 가지 새로운 지표들을 제시했습니다. 과거 다양한 매체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성별 묘사 편향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기반해 영화 내 편향성을 판별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입니다.

 

연구팀은 ▲감정적 다양성(Emotional Diversity) ▲공간적 역동성(Spatial Staticity) ▲공간적 점유도(Spatial Occupancy) ▲시간적 점유도(Temporal Occupancy) ▲평균 연령(Mean Age) ▲지적 이미지(Intellectual Image) ▲외양 강조도(Emphasis on Appearance) ▲주변 물체의 빈도와 종류(Type and Frequency of Surrounding Objects)를 제시했습니다.

캐릭터 성별에 따른 감정 다양성. 출처: KIAST
캐릭터 성별에 따른 감정 다양성. 출처: KIAST

연구팀은 벡델 테스트(Bechdel Test) 통과 여부를 막론하고 여덟 가지 지표를 통해 영화 대부분이 여성을 편향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정량적으로 밝혀냈습니다. 감정적 다양성(Emotional Diversity) 지표에 따르면 여성 캐릭터는 남성 캐릭터에 비해 더 획일화된 감정을 보였습니다. 특히 여성 캐릭터는 슬픔, 공포, 놀람 등의 수동적인 감정을 더 표현했습니다. 반면, 남성 캐릭터는 분노, 싫음 등의 능동적인 감정을 더 드러냈습니다.

캐릭터 성별에 따른 안경 착용률 및 연관 물체의 종류. 출처: KAIST
캐릭터 성별에 따른 안경 착용률 및 연관 물체의 종류. 출처: KAIST

주변 물체의 빈도와 종류(Type and Frequency of Surrounding Objects) 지표에 따르면 여성 캐릭터가 자동차와 함께 나오는 비율은 남성 캐릭터 대비 55.7%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가구와 함께 나오는 비율은 123.9%를 보였습니다. 

캐릭터 성별에 따른 감정 다양성. 출처: KAIST
캐릭터 성별에 따른 시간 점유율. 출처: KAIST

여성 캐릭터의 시간적 점유도(Temporal Occupancy)는 남성 캐릭터 대비 56% 정도 낮았으며 평균 연령(Mean Age)은 79.1% 정도로 어리게 나왔습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두 지표는 한국 영화에서 두드러지게 관찰됐습니다. 

이병주 교수. 출처: KIAST
이병주 교수. 출처: KAIST

 

 

 

"우리나라에선 1인당 연간 평균 영화 관람 횟수가 4.25회에 이를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즐겨봅니다. 이는 영화라는 매체가 대중들의 잠재의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따라서 영화 내 묘사가 관객들의 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영화는 더욱 신중하게 제작돼야 합니다"

-이병주 교수-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원영 2021-02-08 13:04:43
늘 좋은 기사 잘 보고 있습니다 :)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