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속 유산균으로 '닭' 치료 가능?!
'김치' 속 유산균으로 '닭' 치료 가능?!
  • 강지희
  • 승인 2019.11.06 17:15
  • 조회수 197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치에서 생균제 발견했다? 출처: pixabay
김치에서 생균제 발견했다? 출처: pixabay

'생균제'란 사람 또는 동물 장(腸)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해 숙주 동물에게 유익한 영향을 주는 미생물입니다. 대표적으로 유산균을 많이 사용하죠. 생균제는 2011년 정부가 발표한 '배합사료 내 항생제 사용 전면금지' 조치 이후 항생제 대안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방제 효능이 검증된 생균제의 경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의 연구진이 김치에서 분리한 자생 유산균이 닭 대장균증에 탁월한 방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로써 수입산 생균제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치에서 온 유산균, 효과 있다

 

연구진은 김치처럼 소금의 농도가 높은 환경(고염, 高鹽)에 서식하는 유산균이 항균물질을 많이 생산한다는 사실에 착안했습니다. 연구진은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엔아이비알(NIBR)97를 연구에 이용했습니다. 

 

연구진은 2017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바닷물, 젓갈, 김치 등의 고염 시료에서 분리한 1,000여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분석했습니다. 분석한 결과 연구진은 NIBR97이 병원성 대장균에 우수한 항균력을 보임을 확인했는데요. 연구진은 같은 해 12월 특허 출원했습니다. 연구진은 또한 사료첨가제 전문기업 ㈜셀텍에 기술이전을 해 올해 3월 농장에서 임상시험을 실시했습니다.

 

연구진은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NIBR97의 효과를 실험했습니다. 연구진은 대장균증에 감염된 6만 1,000여 마리의 실험군 닭의 산란계를 대상으로 대장균증 방제 효과를 실험했습니다. 참고로 대장균증(Colibacillosis)이란 병원성 대장균(pathogenic Escherichia coli)에 의한 감염증을 말합니다. 매년 소, 돼지, 닭 등의 축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죠.

NIBR97균주의 급여에 따른 닭 대장균증 방제 효과. 출처: 환경부
NIBR97균주의 급여에 따른 닭 대장균증 방제 효과. 출처: 환경부

위 그래프에서처럼 정상기에 놓여있을 때 닭은 매일 20여마리 정도가 자연 폐사합니다. 그런데 대장균증 감염기가 시작되면 2.6배 증가한 평균 52마리의 닭이 폐사했습니다. 연구진은 닭들에게 NIBR97 균주를 17일간 급여했는데요. 실험 결과 실험군은 대장균에 감염돼도 21마리 이하의 닭들만이 폐사해 정상 수준으로 회복했습니다. 이는 수입 생균제와 비교했을 때 방제 효과가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자생 유산균 NIBR97 균주의 병원성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 빨간색 화살표는 병원성 대장균 세포막 파괴 모습이다. 출처: 환경부 

연구진은 전자현미경으로 NIBR97의 활성을 관찰했는데요. 관찰 결과 NIBR97 균주 유래 배양액 추출물은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세포막을 용해해 강력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고 합니다. 기술이전 업체 ㈜셀텍은 NIBR97 균주의 대장균증 방제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올해 11월 중으로 관련 생균 제품을 출시해 양계 농가에 보급할 예정입니다. 여주홍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장은 "현재 동물용 기능성 생균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이번 연구로 일본 및 유럽 등에서 수입돼 오던 외국산 생균제를 국산으로 대체하는 가능성을 열었다"며 "국립생물자원관은 가치가 있는 자생생물자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국내 생물산업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