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미세플라스틱의 크기와 노출 시간에 따라 인체의 독성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독성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됐습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은 일부 암컷 개체의 알집에도 축적돼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자제 등 국민 의식의 변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생물연구그룹 최진수 연구원이 해양 동물 플랑크톤을 이용해 미세플라스틱의 축적에 따른 유해성을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생물 내 축적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 전반을 비롯하여 인체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연구는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됐습니다.

미세플라스틱, 해양동물에 어떤 영향?!
연구팀은 일회용 컵이나 과자의 포장용기 등에 쓰이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미세플라스틱을 해양 동물 플랑크톤(Tigriopus japonicus)에 50nm, 10㎛의 크기로 24, 48시간 동안 노출해 활성산소의 생성,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항산화 유전자 및 효소의 유의적 변화를 확인했습니다.

연구 결과, 시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독성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두 가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모두 플랑크톤(Tigriopus japonicus)의 체내에 축적됐으며 일부 암컷 개체의 알집에도 축적돼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환경위해성연구부장 박준우 박사는 "이번 연구는 해양환경에서 먹이사슬의 가장 낮은 단계인 플랑크톤의 체내에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면서 상위 포식자로의 축적 및 이동을 통해 최상위 단계인 인체로의 유입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라며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보다 깊이 인지하고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자제 등 국민 의식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