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투과율 조절하는 능동형 광학 필름
빛의 투과율 조절하는 능동형 광학 필름
  • 함예솔
  • 승인 2020.05.27 14:40
  • 조회수 307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약

 

에너지의 효율적인 신축 변형을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능동형 광학 필름이 개발됐습니다.  기존 창호 시스템 교체 없이도, 간단한 얇은 필름 형태로 유리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창호시스템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투과율을 큰 폭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광학 필름 제작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활용 가능한 광학 필름 개발됐다. 출처: Pixabay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활용 가능한 광학 필름 개발됐다. 출처: Pixabay

KAIST 신소재공학과 전석우 교수와 건설및환경공학과 홍정욱 교수·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3차원 나노 복합체를 이용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신축변형을 통해 가시광의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능동형 광학 필름을 개발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Advanced Science>에 게재됐습니다. 해당 연구진들은 정렬된 3차원 나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신축성 나노 복합체를 이용해 가시광 투과율을 최대 90%에서 16%까지 조절 가능한 넓은 면적의 광학 필름 제작에 필요한 원천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약 74%의 범위를 갖는 이는 평균적으로 46%의 범위를 가졌던 기존 2차원 필름의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입니다.

 

새로운 형태의 광학 변조 기술 

 

최근 제로 에너지 빌딩, 스마트 윈도우, 사생활 보호 등 에너지 저감, 감성 혁신 응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능동형 광학 변조 기술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기존 외부 자극(전기·열·빛 등)을 이용한 능동형 광학 변조 기술은 느린 반응속도와 불필요한 색 변화를 동반하고 낮은 안정성 등의 이유로 선글라스, 쇼케이스, 광고 등 매우 제한적인 분야에 적용됐기 때문에 현재 새로운 형태의 광학 변조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에너지 효율적인 신축 변형을 이용한 광학 변조 기술은 비교적 간단한 구동 원리와 낮은 에너지 소비로 효율적으로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녀 그동안 학계 및 관련 업계에서 집중적인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광 산란 제어를 유도하는 구조는 대부분 광학 밀도가 낮은 2차원 표면 구조에 기반하기 때문에 좁은 투과율 변화 범위를 갖고, 물 등 외부 매질과 인접할 때 광학 변조기능을 잃는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비 정렬 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어 광학 변조 특성이 균일하지 못해서 넓은 면적으로 만들기도 힘듭니다. 

a) 근접장 나노패터닝과 함침공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정렬 다공성 3차원 탄성중합체 (Polydimethylsiloxane, PDMS), (b) Al2O3를 이용한 3차원 PDMS의 표면 코팅 이후, (c) 다시 PDMS로 기공을 채운 나노복합체의 모식도 및 전자주사 현미경 이미지. (d) 굴절률이 일치되어 투명한 상태의 신축성 광학 필름, (e) 당겨 늘렸을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작은 구멍의 광학 산란 현상을 이용한 불투명 상태의 신축성 광학 필름. 출처: KAIST
a) 근접장 나노패터닝과 함침공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정렬 다공성 3차원 탄성중합체 (Polydimethylsiloxane, PDMS), (b) Al2O3를 이용한 3차원 PDMS의 표면 코팅 이후, (c) 다시 PDMS로 기공을 채운 나노복합체의 모식도 및 전자주사 현미경 이미지. (d) 굴절률이 일치되어 투명한 상태의 신축성 광학 필름, (e) 당겨 늘렸을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작은 구멍의 광학 산란 현상을 이용한 불투명 상태의 신축성 광학 필름. 출처: KAIST

연구팀은 정렬된 3차원 나노구조 제작에 효과적인 근접장 나노패터닝 (PnP, Proximity-field nanopatterning) 기술과 산화물 증착(증기를 표면에 얇은 막으로 입힘)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원자층 증착법 (ALD, 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용했습니다. 이에 주기적인 3차원 나노쉘 (nanoshell) 구조의 알루미나 (alumina)가 탄성중합체에 삽입된 신축성 3차원 나노복합체 필름을 현존하는 광학 변조 필름 중 가장 큰 면적인 3인치×3인치 크기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재료역학/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렬된 3차원 나노 네트워크의 인장(당겨 늘림)시 산화물/탄성중합체 계면에의 공극(작은 구멍) 형성 메커니즘 및 이의 가시광 산란을 통한 투과율 감소 현상 원리 규명. 출처: KAIST
재료역학/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렬된 3차원 나노 네트워크의 인장(당겨 늘림)시 산화물/탄성중합체 계면에의 공극(작은 구멍) 형성 메커니즘 및 이의 가시광 산란을 통한 투과율 감소 현상 원리 규명. 출처: KAIST

광학 필름을 약 60% 범위에서 당겨 늘리는 경우, 산화물과 탄성중합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수없이 많고 작은 구멍에서 빛의 산란 현상이  발생하는데 연구진은 이를 이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가시광 투과율 조절 범위인 약 74%를 달성했습니다. 동시에 10,000회에 걸친 반복적인 구동 시험과  굽힘과 뒤틀림 등 거친 변형, 70℃ 이내 고온 환경에서의 구동, 물속에서의 구동 특성 등을 확인한 결과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인했습니다. 이와 함께 재료역학적‧광학적 이론 해석을 바탕으로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광 산란 현상 메커니즘도 규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a) 광학 필름을 이용한 외부 조도 환경에 스스로 반응하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동작 예시. (b, c) 빔 프로젝터용 월페이퍼 타입 스크린 응용 예시. (b) 인장(당겨 늘리기) 전 광학 필름의 투명 상태, (c) 인장(당겨 늘리기) 후 불투명 상태에서의 빔프로젝터 스크린 응용.  출처: KAIST
(a) 광학 필름을 이용한 외부 조도 환경에 스스로 반응하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동작 예시. (b, c) 빔 프로젝터용 월페이퍼 타입 스크린 응용 예시. (b) 인장(당겨 늘리기) 전 광학 필름의 투명 상태, (c) 인장(당겨 늘리기) 후 불투명 상태에서의 빔프로젝터 스크린 응용. 출처: KAIST

개발된 기술은 기존 창호 시스템 교체 없이도, 간단한 얇은 필름 형태로 유리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 밖에 두루마리 타입의 빔프로젝터 스크린 응용 등 감성 혁신적인 폭넓은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