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강하 적은 미세먼지 필터 소재 개발
압력강하 적은 미세먼지 필터 소재 개발
  • 함예솔
  • 승인 2020.09.28 16:20
  • 조회수 188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연구팀이 면(綿)이나 폴리에스터 같은 섬유에 제올라이트를 코팅하면 섬유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개념. 출처: 한국연구재단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개념. 출처: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화학과 정성화 교수 연구팀이 제올라이트를 섬유에 소량 도입, 섬유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면 같은 섬유 대비 2배 이상으로 향상되는 필터제조 기반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J. Materials Chemistry A>에 게재됐습니다. 

  • 제올라이트(zeolite) 

실리콘, 알루미늄 및 산소를 주요 성분으로 가진 다공성(多孔性) 광물질로 촉매와 흡착제, 세제 및 동물사료 등에 쓰입니다. 천연 제올라이트 외에 합성 제올라이트도 용이하게 생산돼 많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제올라이트로 필터 성능개선

 

기존에도 다공성 물질을 도입한 필터의 성능개선 연구가 있었으나 제올라이트를 적용한 예는 없었습니다. 제올라이트는 동물사료나 식품포장재의 첨가제로 사용될 정도로 비교적 무해하면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올라이트와 다양한 미세먼지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 주는 개념도. 출처: 한국연구재단
제올라이트와 다양한 미세먼지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 주는 개념도. 출처: 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미세먼지 표면의 전하를 띠는 성분이 전하분리 효과가 큰 제올라이트와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전하분리란 양전하와 음전하로 분리되는 성질을 말하는데요. 전하분리가 잘 되면 전하를 띠는 또 다른 물질과 정전기적 상호인력으로 서로 쉽게 붙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제올라이트는 특유의 다공성 구조로 넓은 표면적을 지녀 반응성도 뛰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실제 제올라이트가 코팅된 섬유(3 x 3 cm2) 필터에 심하게 오염된(초미세먼지 300 ppm 이상, 미세먼지 700 ppm 이상) 공기를 통과시켰을 때(380 x 580 x 580 mm3 크기 챔버) 12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80% 이상의 미세먼지들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제올라이트의 작은 세공(細孔)에 큰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개념도. 출처: 한국연구재단
제올라이트의 작은 세공(細孔)에 큰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개념도. 출처: 한국연구재단

순수 면의 경우 초미세먼지 제거율이 35% 수준이나 소량의 제올 라이트를 도입하자 제거율이 80% 이상으로 크게 향상된 겁니다.  

 

반면 착용감에 영향을 주는 압력강하 증가도 무시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올라이트 코팅에도 불구하고 압력강하는 27Pa에서 37Pa로 소폭 증가했고 12시간 후에도 38Pa로 나타났습니다. 38Pa의 압력 강하는 시판되는 KF80 마스크의 175Pa 대비 22% 수준입니다. 참고로 압력 강하란 호흡 등으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할 때 필터의 앞과 뒷면에서의 압력차이를 말합니다. 압력 강하가 클수록 호흡하기가 곤란하고 착용감이 좋지 못합니다.

 

연구팀은 미세먼지 제거율과 압력강하 모두를 고려한 필터의 평가기준인 품질인자를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필터 최적화와 실제 조건에서의 현장테스트 및 문제점 해결 등의 후속연구를 계속할 계획입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