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Nature Astronomy>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한 연구팀이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phosphine) 분자를 발견했습니다. 금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한 겁니다.
지구를 기준으로 설명 드리면, 포스핀 분자는 살아있는 생물을 통해서만 만들어집니다. 포스핀 가스는 고약하고 독성이 강한 기체인데요. 동물의 장에 서식하는 박테리아, 부패된 하수나 늪지대 등 산소가 부족한 곳에 사는 박테리아 등이 만듭니다.
금성의 대기에서 포스핀을 발견했다는 소식은 학계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포스핀은 주로 거대 가스행성의 대기에 존재하는데요. 세 개의 수소원자와 인 원자를 결합하기 위한 엄청난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금성에서 그게 어떻게 가능하다는 건지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그 어떤 화학적 과정도 금성에서 포스핀이 생성되는 걸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다만, 살아 있는 유기체가 금성에 존재한다면 포스핀 또한 만들어질 수 있겠죠.
이 주장에 대한 반박도 제기됐습니다. 일부에서는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을 검출했다는 것 자체에 대한 의문을 품었습니다. 또한 포스핀 분자 발견을 해석한 결과를 금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내용으로 연결짓는 것이 타당한지도 화두였습니다.
물론 이 발견에 회의적인 사람들조차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이 발견됐다는 사실 자체에 흥미를 느낍니다. 금성은 뜨겁고 현존하는 지옥으로 빗댈 정도지만 대기의 초고층은 비교적 아늑한 편이어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오랫동안 제기돼 왔습니다.
포스핀 있다고 금성에 정말 생명체가 있을까?!
금성에 포스핀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이걸 생명체가 만들었을까 의혹이 제기되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지구에서는 인산염이 살아있는 유기체와 관련 있지만 금성은 말 그대로 외계행성이기 때문입니다. 학자들은 그 행성의 복잡하고 세부적인 것들까지 아직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영국의 글래스고대학교의 화학자 리 크로닌(Lee Cronin)은 인산염은 매우 단순한 분자이며 실험실에서 만들어내기 쉽다고 주장했습니다.
리 크로닌은 또한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금성 지표가 때때로 분열되면서 지하에 갇혀있던 포스핀이 방출될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만약 금성의 황산 구름이 비를 내리게 되면 그것들은 대기 중에 포스핀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금성은 지옥과 같은 유독성의 대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무리 미생물이라 하더라도 지구처럼 유기체가 살기에는 극악한 조건이라는 분석입니다.
한편, 포스핀을 최초로 발견한 팀은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후속 관측에 관심이 많습니다. NASA의 SOFIA 망원경, 칠레의 초거대망원경, 그리고 머지 않아 수성으로 가는 길에 금성을 지나칠 ESA의 베피콜롬보 우주선(BepiColombo spacecraft)을 이용해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을 추가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Greaves, Jane S., et al. "Phosphine gas in the cloud decks of Venus." Nature Astronomy (2020): 1-10.
- Bains, William, et al. "Phosphine on Venus Cannot be Explained by Conventional Processes." arXiv preprint arXiv:2009.06499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