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에도 빙하는 무너진다
빙하기에도 빙하는 무너진다
  • 함예솔
  • 승인 2020.11.26 06:40
  • 조회수 136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극지연구소에서는 빙하기에 빙하가 무너져 내린 흔적을 남극바다에서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에 게재됐습니다. 

서남극의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빙하로부터 연장된 빙서남극의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빙하로부터 연장된 빙붕(ice shelf)가 만든 열극. 출처: NASA earth observatory
서남극의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빙하로부터 연장된 빙서남극의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빙하로부터 연장된 빙붕(ice shelf)가 만든 열극. 출처: NASA earth observatory

빙하기에도 빙하 무너져내린다

 

빙하기는 지구의 평균 온도가 떨어져 얼음으로 덮인 영역이 늘어나는 시기이며, 남극 빙하의 붕괴는 빙하기가 끝나고 온도가 오르는 간빙기에 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 연구들에서도 간빙기 때 빙하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덩어리들이 운반한 것으로 추정되는 굵기 1mm 이상의 입자들이 남극바다 퇴적물에서 확인됐습니다. 

남극항해 중 로스해-아문젠해 사이 바다에서 퇴적물 취득 (위) 간빙기에 쌓인 것으로 추정되는, 육안으로 구별 가능한 굵은 입자 크기를 포함한 퇴적물 (아래). 출처: 극지연구소
남극항해 중 로스해-아문젠해 사이 바다에서 퇴적물 취득 (위) 간빙기에 쌓인 것으로 추정되는, 육안으로 구별 가능한 굵은 입자 크기를 포함한 퇴적물 (아래). 출처: 극지연구소

극지연구소와 호주국립대학교, 충남대학교 공동연구팀은 2003년 남극스코시아해에서 빙하 기원으로 보이는 퇴적물을 분석해 22,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를 발생 시기로 지목했습니다. 빙하기에도 빙하가 붕괴해 바다로 퇴적물이 공급됐다는 겁니다. 연구팀이 분석한 퇴적물의 입자는 70% 이상이 0.016~0.063mm 크기로 나타나 간빙기 때보다 작았고 자성을 띤 광물은 4배 이상 많았습니다. 

남극 스코시아해 연구지역. 출처: 극지연구소
남극 스코시아해 연구지역. 출처: 극지연구소

대자율은 물질이 자성을 띠는 정도를 말하며, 육상에서 온 퇴적물에서 높게 나타납니다. 빙하 퇴적물도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데, 스코시아해에서 끌어올린 퇴적물도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참고로 남극 스코시아해는 남극의 가장자리인 남미와 남극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빙하기-간빙기 동안 늘었다 줄었다하는 빙하의 흔적들이 잘 남아있어서 과학계의 관심이 높습니다. 얼음과 바다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국제공동해양 시추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남극 스코시아해 퇴적물의 철자성광물 함량변화. 출처: 극지연구소
남극 스코시아해 퇴적물의 철자성광물 함량변화. 출처: 극지연구소

본래 빙하가 품고 있던 퇴적물이 바다까지 오기 위해서는 빙하가 쪼개지거나 녹아 없어져야 가능합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역추적해 빙하기에도 빙하가 부서졌음을 밝혀냈습니다.

 

김성한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과거 기록에서 찾아낸 빙하의 움직임과 붕괴 현상 등은 기후변화 모델링의 기초자료로, 미래기후를 정확히 예측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