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로 그린수소 저장체 만드는 기술
미세먼지로 그린수소 저장체 만드는 기술
  • 함예솔
  • 승인 2020.12.01 17:35
  • 조회수 209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 시스템을 활용한 질소 순환 모델 개념도. 출처: UNIST
본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 시스템을 활용한 질소 순환 모델 개념도. 출처: UNIST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일산화질소(NO)를 탄소배출 없이 100% 순수한 암모니아(NH3)로 전환시키는 기술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암모니아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청정수소 저장체로 활용할 수 있어서 탄소중립시대를 앞당길 1석 2조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ACS Energy Letters 표지. 출처: UNIST
ACS Energy Letters 표지. 출처: UNIST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의 권영국 교수팀은 임한권 교수팀, KAIST 김형준 교수팀과 미세먼지 전구체인 일산화질소 원료를 상온·상압에서 100% 암모니아로 변환시키는 전기화학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금속착화합물(FeEDTA)을 투입해 전해질속에서 일산화질소를 흡착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일산화질소 용해도가 100배 이상 개선되고 부산물도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구는 <ACS Energy Letters>에 게재됐습니다. 

  • 금속착화합물

금속이온에 유기물이 꼬리처럼 결합한 물질입니다. 연구팀이 활용한 금속착화합물인 FeEDTA는 2가 철이온 (Fe2+)과 유기물인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가 결합한 화합물입니다.  

기존의 전기화학적 변환기술은 일산화질소가 전해질에 잘 녹지 않아 반응속도가 매우 느렸고, 일산화질소끼리 짝을 이뤄(N-N Coupling) 질소기체(N2) 등이 생성되는 부반응 부산물이 많아 활용성이 떨어졌습니다.

은 평면 전극을 나노구조화 시키는 과정(a)과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b). 출처: UNIST
은 평면 전극을 나노구조화 시키는 과정(a)과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b). 출처: UNIST

이번 기술은 기존의 암모니아 생산 공정(하버 보슈 공법)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점도 극복했습니다. 또 공정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고온·고압의 복잡한 설비와 비용 부담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FeIIEDTA가 NO와 결합하여 은 (Silver) 전극 표면에서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반응의 메커니즘 연구 자료. 출처: UNIST
 은(Silver) 전극 표면에서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반응의 메커니즘 연구 자료. 출처: UNIST

 

권영국 교수. 출처: UNIST
권영국 교수. 출처: UNIST

 

 

 

본 연구를 주도한 권영국 교수는 "액상 암모니아는 액화수소보다 단위 부피당 더 많은 수소를 저장 할 수 있어 수소 저장과 운송에 유리하다"며 "이번 기술 개발이 본격적인 수소 시대 개막을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