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약물 반응 연구 위한 생체모사 시스템
인체 약물 반응 연구 위한 생체모사 시스템
  • 함예솔
  • 승인 2020.12.13 09:10
  • 조회수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지된 약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출처: pixabay<br>
신약 개발에서 중요한 건 정확한 신체 반응! 출처: pixabay

국내연구진이 신약개발에서 보다 정확한 인체의 반응을 얻기 위해 생체모사 세포배양시스템과 기능성 인체세포를 결합하여 새로운 인체의 약물반응 시험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신약개발의 정확성과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정초록 박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Biofabrication'에 게재됐습니다.

 

약물 반응 연구 위해 인체 닮은 모델 개발

 

신약개발 단계별로 사용되는 시험모델은 신약개발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이며, 보다 정확하고 인체와 닮은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포주를 기반으로 하는 초기 탐색단계와는 달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 전단계의 비임상시험에서 살아있는 동물 체내에서의 약물반응을 시험하는 약동력학시험, 약독성학시험 등이 진행됩니다.  

 

따라서 비임상시험을 위한 시험모델은 생체의 장기간 연계와 혈액순환을 모두 모방해야 하며, 장기의 기능을 모사한 세포가 필수적입니다. 

순환배양기.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순환배양기.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은 2015년부터 생체의 장기간 연계와 혈액 순환을 모사한 순환 배양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해 최근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약동력학시험(Pharmaci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모델로 검증했습니다. 

  • Pharmacikinetics 

시간에 따른 체내에서 약물의 농도변화입니다.

  • Pharmacodynamics 

시간에 따른 체내에서 약물의 농도변화에 의한 신체의 반응입니다. 

연구팀은 최근 약물개발 추세에 맞추어 경구용 약물의 약동학 (Pharmacikinetics) 시험을 위해 현존하는 흡수세포(Caco-2)와 간세포(HepaRG)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신규 분화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효과적인 간세포 (HepaRG) 의 새로운 분화 기술 개발.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효과적인 간세포 (HepaRG) 의 새로운 분화 기술 개발.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고기능 흡수세포와 간세포가 탑재된 순환 배양시스템에 시판되고 있는 15종 약물을 투여하여 약동학 시험평가 수행 후, 인체결과와 비교하여 70% 이상의 유사성을 보임을 확인했습니다.

생체모사 시스템과 고기능의 흡수세포와 간세포를 활용한 약동학 시험 검증.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체모사 시스템과 고기능의 흡수세포와 간세포를 활용한 약동학 시험 검증.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또한 고도로 분화된 흡수세포, 간세포, 신장세포와 염증세포 4종의 세포를 탑재하여 아세트아미노펜의 신장독성과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약력학(Pharmacodynamics) 시험이 가능함을 제시했습니다.

생체모사 시스템과 장, 간, 신장, 암세포 모델을 활용한 약력학 시험 검증.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체모사 시스템과 장, 간, 신장, 암세포 모델을 활용한 약력학 시험 검증.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책임자인 정초록 박사는 "본 생체모사시스템은 신약개발 단계에서 현재 시행되는 비임상시험의 문제점을 보완해주는 새로운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새로운 시스템에 고기능 오가노이드를 탑재해 시험을 진행 중인 만큼, 가까운 미래에는 더욱 높은 인체 유사도와 정확성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