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를 유용 원료로 바꾼 비결
이산화탄소를 유용 원료로 바꾼 비결
  • 함예솔
  • 승인 2021.01.27 19:20
  • 조회수 266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현택환 나노입자 연구단장 연구팀은 원자 26개로 구성된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를 개발하고 이를 촉매로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유기물질로 전환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습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는 물론 환경오염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물질로 폭넓은 활용이 기대됩니다. 해당 연구는 'Nature Materials'에 게재됐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의 응집 거대구조 형성 과정. 출처: IBS
반도체 클러스터의 응집 거대구조 형성 과정. 출처: IBS

26개의 원자로 구성된 가장 작은 반도체

 

최근 나노과학 분야에서는 덩어리(bulk) 상태와는 다른 새로운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진 수십 개의 원자로 구성된 클러스터의 제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클러스터는 기존 나노입자보다 작으면서도 정확한 개수의 원자로 구성되어 원하는 물성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클러스터는 다양한 응용 가능성으로 주목받았지만, 지금까지는 상온 및 공기 중에서 불안정하여 응용 사례가 전무했습니다.

 

연구진은 반도체 클러스터의 안정성 개선을 위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우선, 기존 반도체 클러스터를 둘러 싼 리간드에 주목했습니다. 클러스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반도체 클러스터의 단일 자리 리간드를 이중 자리 리간드로 대체했습니다. 두 손을 마주잡는 것이 한 손으로 잡는 것보다 더 견고한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이후, 승온법으로 망간이온(Mn2+)이 치환된 13개의 카드뮴셀레나이드 클러스터 (CdSe)13와 13개의 아연셀레나이드 클러스터(ZnSe)13를 합성했습니다. 이렇게 합성된 클러스터 수십 억 개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규칙성 있게 배열하여 거대구조(suprastructure)를 만들었습니다. 기존 반도체 클러스터는 공기 중에서 30분이 지나면 그 구조에 변형이 일어났지만, 연구진이 합성한 새로운 거대구조는 1년 이상 안정성을 유지했으며, 발광 효율 역시 기존에 비해 72배 향상됐습니다.

  • 반도체 클러스터

여러 원자가 뭉쳐 하나의 원자와 유사한 성질을 보이는 것으로 분자 클러스터(magic-sized nanocluster)로도 불립니다.

  • 리간드(ligand)

중심 금속 원자에 결합하여 화합물을 형성하는 이온 또는 분자를 뜻합니다.

  • 단일 자리 리간드

중심 금속 원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를 뜻합니다. 이중 자리 리간드는 금속 원자 두 개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리간드를 의미합니다. 

  • 승온법(heat-up process)

온도를 서서히 올려가며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식입니다. 현택환 단장 연구팀이 고안한 합성법으로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연구 및 산업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연구진은 같은 방식으로 원자 단위에서 카드뮴과 아연을 섞어 26개 원자로 이뤄진 카드뮴-아연 합금 셀레나이드 클러스터(Mn2+:(Cd1-xZnxSe)13)를 합성하고, 클러스터를 뭉쳐 거대구조를 구현했습니다. 이어 이를 촉매로 활용하면 온화한 조건(통상적으로 반응이 이뤄지는 온도와 압력에 비해 저온·저압 환경)에서도 이산화탄소를 화장품 및 플라스틱의 원료물질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변환하는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 거대구조의 촉매적 특성. 출처: IBS
반도체 클러스터 거대구조의 촉매적 특성. 출처: IBS

제1저자인 백운혁 연구원은 "온화한 조건에서 1시간에 1개의 클러스터가 3000개의 이산화탄소 분자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변환하는 높은 전환율을 보였다"며 "카드뮴과 아연이 원자 단위에서 반씩 섞인 클러스터 거대구조에서 두 금속 간의 시너지 효과가 유발되어 촉매 활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택환 단장. 출처: IBS
현택환 단장. 출처: IBS

 

 

 

 

현택환 단장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클러스터를 상온 및 공기 중에서도 안정적인 거대구조로 구현하고, 이를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변환하는 촉매로도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줬다"며 "반도체 클러스터의 조성을 26개의 원자 내에서 정밀하게 조절하여 전혀 새로운 성질을 가진 반도체 물질을 구현하여, 향후 미래 반도체 소재를 발굴하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