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 얼 때, 탄소는 가라 앉아
북극해 얼 때, 탄소는 가라 앉아
  • 함예솔
  • 승인 2021.04.22 16:00
  • 조회수 137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극지연구소 북극 바다얼음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냈습니다. 하천에서 온 탄소화합물을 바다 깊은 곳으로 보내는 건데요. 지구의 탄소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당 연구는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게재됐습니다.

유독 빠른 북극 지역 온난화, 북극탓? 출처: fotolia
유독 빠른 북극 지역 온난화, 북극탓? 출처: fotolia

탄소 심해로 보내는 북극 바다얼음의 역할

 

탄소화합물이 바다에 실려서 움직이는 것은 지구의 탄소순환 과정 중 하나로, 순환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나면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과학계가 탄소의 이동에 주목하는 이유인데요. 북극해는 부피가 바다 전체의 약 1%에 불과하지만, 육지에서 배출되는 하천수의 10%가 이곳으로 모입니다. 연구가 진행된 북극 축치해(Chukchi Sea)의 경우, 탄소화합물의 30~40%가 하천에서 유래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극지연구소와 세종대학교 등 국내 공동 연구팀은 2017년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축치해의 유기탄소 화합물이 수심 약 200m까지 내려가는 현상을 확인하고, 북극 바다얼음 (해빙)의 형성과정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북극 해빙은 탄소를 심해로 옮기는 것 이외에도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빛을 반사해 북극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플랑크톤의 생태활동이나 바다와 대기간 탄소 교환 과정에도 영향을 줍니다. 북극 해빙의 변화를 여러 측면에서 연구하는 이유입니다. 

축치해 (Chukchi Sea) 해빙형성에 의한 탄소수송 기작. 출처: 극지연구소
축치해 (Chukchi Sea) 해빙형성에 의한 탄소수송 기작. 출처: 극지연구소

이번에 연구진이 밝힌 바에 따르면, 바닷물은 얼면서 염분을 내보내고, 염분은 얼지 않은 부분으로 모여 밀도를 높입니다. 바다 표층에 녹아 있던 탄소화합물은 이 무거워진 물과 섞여서 가라앉게 도 됩니다. 지구온난화로 여름에도 녹지 않는 다년빙은 줄고, 녹았다가 다시 어는 단년빙이 늘어나면서 이 같은 현상은 앞으로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017년 아라온호 북극항해 중 해수 시료 채취. 출처: 극지연구소
2017년 아라온호 북극항해 중 해수 시료 채취. 출처: 극지연구소

정진영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제 1저자)은 "지구온난화로 영구동토층이 녹고 하천수의 유입량이 증가하면서, 북극 해빙이 깊은 바다로 보내는 탄소의 양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구의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전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