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고효율 배터리 시스템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고효율 배터리 시스템
  • 함예솔
  • 승인 2021.04.05 19:35
  • 조회수 177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려지는 실내조명(빛)으로 배터리를 충전해 쓰는 에너지 재활용 시대가 앞당겨질 전망입니다. 조명 불빛의 충전 효율을 크게 끌어올린 전극 소재가 새롭게 개발됐기 때문입니다. UNIST 송현곤·권태혁 교수 연구팀은 실내조명을 이용한 에너지 효율을 13.2%까지 끌어올린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이제껏 개발된 광 충전 시스템 중 최고 기록인 11.5%를 훌쩍 뛰어넘습니다.

실내 조명으로 충전되는 고효율 배터리 시스템. 출처: pixabay
실내 조명으로 충전되는 고효율 배터리 시스템. 출처: pixabay

실내 조명으로 충전된다 

 

연구진은 전극소재인 리튬망간산화물(LiMn2O4)에 리튬 이온을 더 빠르게 집어넣는 방법으로 충전효율을 높였습니다. 리튬망간산화물에 전기화학적 자극을 줘 입자들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그 크기를 키움으로써, 리튬 이온이 전극에 더 많이, 더 빨리 저장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입자의 방향 정렬성과 크기개선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입자 하나의 크기가 기존 26 nm(나노미터, 10-9)에서 34 nm로 커졌습니다.

염료감응형 광충전 이차전지 (Dye-sensitized photorechargeable battery, DSPB)의 구조 및 작동 원리. 출처: UNIST
염료감응형 광충전 이차전지 (Dye-sensitized photorechargeable battery, DSPB)의 구조 및 작동 원리. 출처: UNIST

개발된 광 충전 이차전지 시스템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발전기)와 발전으로 얻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가 합쳐진 시스템입니다. 리튬 이온이 배터리 전극에 단위 시간당 더 많이 저장될수록 충전 효율이 높습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시스템을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11.5%의 높은 에너지 변환·저장 효율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 염료감응 광(태양)전지

일반적인 실리콘 태양전지 등과 달리 어두운 밝기(저조도) 빛을 통해서도 전기 생산 효율이 높습니다. 빛이 있을 때만 발전하기 때문에 이를 저장해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식물 잎의 엽록소라는 염료가 빛을 흡수해 전자를 만드는 원리에서 착안한 전지입니다.

전기화학적 자극을 통한 결정 정렬 및 입자 크기 향상. 출처: UNIST
전기화학적 자극을 통한 결정 정렬 및 입자 크기 향상. 출처: UNIST

제1저자인 이명희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박사는 "리튬망간산화물은 일반적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일어나는 반응 외에 리튬이온을 저장하는 또 다른 반응 경로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결정 구조를 정렬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 리튬이온배터리

리튬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각종 전자기기나 전기차의 배터리로 쓰이고 있습니다. 

공동 제1저자인 김병만 UNIST 화학과 연구조교수는 "실제로 리튬이온을 추가로 넣는 반응에서는 결정구조가 정육면체 구조(cubic)에서 정방정계 구조(tetragonal)로 바뀌게 된다"며 "충·방전으로 이런 변화가 반복되면서 입자를 정렬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정이 정렬된 LMO를 사용한 DSPB 및 LIB의 성능. 출처: UNIST
결정이 정렬된 LMO를 사용한 DSPB 및 LIB의 성능. 출처: UNIST

한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실내조명 발전은 실리콘 태양전지 등과 달리 어두운 밝기(저조도) 빛으로 전기 생산이 가능하지만, 빛이 없는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시스템이 함께 필요합니다. 권태혁 교수는 "실내조명 발전은 조명으로 버려지는 전기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기술일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과 달리 장소, 날씨, 시간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며 "개발된 일체화된 시스템 사용할 경우 실내조명으로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 송현곤 교수, 권태혁 교수, 이명희 연구원, 김병만 연구원. 출처: UNIST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 송현곤 교수, 권태혁 교수, 이명희 연구원, 김병만 연구원. 출처: UNIST

송현곤 교수는 "간단한 전기화학적 자극만으로도 저장전극 물질의 동역학 성질을 개선해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증가시킨 것이 주효했다"며 "이 물질은 리튬이온배터리의 고속 충전 등에서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당 논문은 'ACS Energy Letters'에 게재됐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