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조직 투과 이미징 기술 개발
생체조직 투과 이미징 기술 개발
  • 함예솔
  • 승인 2021.04.05 19:20
  • 조회수 116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체조직 너머의 또 다른 조직을 투시하는 광학현미경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은 100μm(마이크로미터, 10-6m) 두께가 되면 광학현미경 투과 관찰이 힘듭니다. 생체조직의 구성 물질이 단백질, 지질 등으로 다양해 빛의 산란이 많기 때문입니다. 빛이 산란되면 초점이 맞지 않아 이미지가 흐릿하게 됩니다. 산란된 빛의 경로를 수정해 원래 목표인 초점으로 보내는 파면 제어 기술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 산란

매질(빛이 통과하는 물질) 굴절률 차이 때문에 빛이 진행방향이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빛이 만나는 입자의 크기와 파장에서 따라 산란 종류가 달라집니다. 생체 내 조직인 세포는 그 크기가 가시광선 파장보다 훨씬 커 빛이 산란되더라도 원래 빛의 진행 방향으로 산란됩니다.

  • 파면(wave front)

빛은 입자인 동시에 파동의 성질을 지니고 있는데, 파동의 위상(골 또는 마루 등)이 같은 지점을 이으면 파면을 얻습니다. 파면 위상(모양)이나 세기를 조절해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파면 왜곡 제어 기술이라 합니다. 파면 왜곡 제어기술은 빛이 한 초점에 모일 수 있도록 왜곡된 파면을 상쇄 하는 복잡한 파면을 새로 만드는 기술입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 교수팀은 현미경 대물렌즈 중앙 영역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수정해 또렷한 초점을 만드는 새로운 파면제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박 교수팀은 이 기술로 710μm 두께의 쥐 뇌 조직 뒤에 숨겨진 형광비즈(구슬)를 또렷이 관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효율적인 파면왜곡 제어와 기존 파면왜곡제어 방법의 비교 설명. 출처: UNIST
효율적인 파면왜곡 제어와 기존 파면왜곡제어 방법의 비교 설명. 출처: UNIST

연구진은 생체 조직 내에서는 대부분의 빛이 진행 방향으로 산란된다는 점에서 착안했습니다. 이 때문에 대물렌즈 가장 자리를 통과해 조직으로 비스듬히 들어오는 빛일수록 조직 내에서 가장 많은 거리를 이동하고 조직 내부의 세포 등과 부딪히면서 에너지 소모가 많게 된다는 가설이 성립합니다.

효율적인 파면왜곡 제어 실험 모식도.  출처: UNIST
효율적인 파면왜곡 제어 실험 모식도. 출처: UNIST

연구진은 개발한 파면 제어법은 대물렌즈 가장 자리를 통과하는 '저에너지 빛'은 버리고 중심 영역을 통과하는 '고에너지 빛'만 골라 초점으로 보내 초점 세기를 강화하는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실제로 동일한 파면제어 시간을 소모한 경우, 기존 기술 대비 형광신호 세기는 8.9배, 형광비드와 주변 배경 간 신호 대비는 2.1 배나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10μm 두께의 쥐 뇌 조직을 통과한 형광 비드 이미징 과 신호세기 선 그래프. 출처: UNIST
10μm 두께의 쥐 뇌 조직을 통과한 형광 비드 이미징 과 신호세기 선 그래프. 출처: UNIST

제1저자인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진형원 연구원은 "생체 조직과 같은 매질(빛이 통과하는 물질)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고에너지 빛만 선택적으로 파면제어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이미징 방식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효율적인 파면왜곡 제어를 적용한 쥐 뇌 속 신경세포 이미징. 출처: UNIST
효율적인 파면왜곡 제어를 적용한 쥐 뇌 속 신경세포 이미징. 출처: UNIST

박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기법은 생체조직내로 빛을 투과시켜 병변을 치료하는 기술이나 생체 조직의 세포를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 등으로 확장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한편, 이번 기술은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를 줄였음에도 고품질을 이미지를 얻었을 수 있었다는데서 기존 이론과 대비되는 결과입니다. 일반적으로 개구수는 이미지 해상도와 비례하는 값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Optica' 4월호에 출판될 예정입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