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1월호] 민달팽이의 세상
BBC
[BBC 1월호] 민달팽이의 세상
  • 함예솔
  • 승인 2021.04.19 17:42
  • 조회수 256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열로 움직이는 바다 민달팽이

바다 민달팽이는 4,700종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코스타시엘라 쿠로쉬매(Costasiella kuroshimae)로 알려진 이 바다 민달팽이는 산호초 주변에 서식하며 그곳에서 조류를 뜯어먹습니다. 녹색의 몸 색깔은 먹이 때문에 만들어진 겁니다. 나뭇잎 양은 조류의 엽록체를 유지하며 광합성을 계속합니다. 이는 ‘훔친 색소체(kleptoplasty)’라 불리는데, 엽록체를 훔치는 수법으로 주변에 먹이가 없을 때를 대비합니다. 이는 이 바다 민달팽이가 진화해온 이상하고도 독특한 생존 기술 중 하나입니다. ‘바다 달팽이’란 용어는 껍데기가 없이 성체로 진화한 달팽이의 친척뻘인 여러 연체동물에 적용됩니다. 이것들은 바위 사이의 작은 웅덩이에서부터 심해에 이르기까지, 열대 및 온대 해역, 심지어 북극과 남극까지 거의 모든 바다에서 발견됩니다. 

 

놀랄만한 연체동물

바다 달팽이는 모양과 색깔이 놀랍도록 다양합니다. 책 <Rock Pool: Extraordinary Encounters Between The Tides>의 저자이자 바다 민달팽이 전문가 헤더 버티반트(Heather Buttivant)는 “바다 달팽이의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은 놀랍다”고 말합니다. 열대 바다 민달팽이(Cyerce nigricans)를 포함한 대부분의 민달팽이는 외투막 주름(cerata)이라 불리는 돌출부로 뒤덮여 있습니다. 이 종은 배고픈 물고기나 게가 방해할 때, 도마뱀이 꼬리를 떨어뜨리는 것처럼 외투막 주름 일부를 떼어버립니다. 불청객의 주위를 딴 데로 돌리기 위해서입니다. 바다 민달팽이들은 화학적 흔적과 물을 따라 먹이를 찾고, 그들의 머리에서 ‘후각돌기(rhinophores)’라 불리는 한 쌍의 기관을 이용해 냄새의 방향을 감지합니다.

 

네온 위장

바다 민달팽이들은 몸을 숨길 외부 껍데기가 없는 상황에서 다양하게 진화했다. 바나나 민달팽이(Notodoris minor)는 산호초에 서식하면서 화려한 색상으로 위장합니다. 이들이 기어 다니면 발견하기가 어렵다. 반면 눈길을 끄는 패턴을 가진 바다 민달팽이들은 포식자들에게 몸에 해로운 화학물질들이 가득 차있으니 건드리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어떤 바다 민달팽이들은 스스로 독소를 생산하고 또는 먹이를 통해 독소를 얻습니다. 바나나 민달팽이는 도리스(dorids)과에 속하는데 바깥층이 매끈하고 솜털 같은 아가미가 등에 솟아있습니다. 아이올리스(aeolids)과는 아가미 역할을 하는 얇고 손가락 같은 모양의 외투막 주름(cerata)으로 덮여있습니다. 도리스과와 아이올리스과는 ‘벌거벗은 아가미’라는 뜻의 나새류(nudibranchs)로 알려져 있습니다.

 

 

민달팽이가 사랑을 나눌 때

수많은 알 바다 민달팽이는 짝짓기를 한 후, 알을 낳는다. 어떤 종은 한 번에 몇 개씩 낳지만, 또 다른 종은 수천 개에서 수백만 개씩 낳는다. 종종 위 사진 속 리베시아 트라이오니(Risbecia tryoni)처럼 나선형의 리본처럼 되어 있거나 때로는 나웃소돈타 잔내(Knoutsodonta jannae)처럼 분리된 집단으로 놓여있는 경우도 있다. 바다 민달팽이를 찾는 사람들에게 알은 작고, 눈에 띄지 않는 종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버티반트(Heather Buttivant)는 “그들은 자신의 몸 크기의 몇 배에 달하는 알을 낳는다”고 말한다. 이 알들은 부화하는데 며칠 혹은 몇 주가 걸릴 수 있는데 이는 작은 바다 민달팽이 또는 작은 나선형 껍질을 가진 ‘밸리저(veligers)’라고 불리는 헤엄치고 있는 유충으로 더 자주 보인다. 밸리저들은 헤엄쳐 돌아다니다가 껍데기를 버리고 해저에 정착해 성체로 성장하게 된다.
수많은 알 바다 민달팽이는 짝짓기를 한 후, 알을 낳는다. 어떤 종은 한 번에 몇 개씩 낳지만, 또 다른 종은 수천 개에서 수백만 개씩 낳는다. 종종 위 사진 속 리베시아 트라이오니(Risbecia tryoni)처럼 나선형의 리본처럼 되어 있거나 때로는 나웃소돈타 잔내(Knoutsodonta jannae)처럼 분리된 집단으로 놓여있는 경우도 있다. 바다 민달팽이를 찾는 사람들에게 알은 작고, 눈에 띄지 않는 종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버티반트(Heather Buttivant)는 “그들은 자신의 몸 크기의 몇 배에 달하는 알을 낳는다”고 말한다. 이 알들은 부화하는데 며칠 혹은 몇 주가 걸릴 수 있는데 이는 작은 바다 민달팽이 또는 작은 나선형 껍질을 가진 ‘밸리저(veligers)’라고 불리는 헤엄치고 있는 유충으로 더 자주 보인다. 밸리저들은 헤엄쳐 돌아다니다가 껍데기를 버리고 해저에 정착해 성체로 성장하게 된다.

바다 달팽이는 ‘동시에 자웅동체(simultaneous hermaphrodites)’이다. 각 개체는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를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 스스로 짝짓기를 할 수 없고 정자를 다른 민달팽이와 교환해야 합니다. 짝짓기 하는 바다 달팽이 한 쌍(Nembrotha lineolate)의 클로즈업 사진에서 보이는 민달팽이 음경(penis)은 머리의 오른쪽에 있습니다. 바다 민달팽이 짝짓기는 몇 초에서 10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어떤 종들은 일회용 음경을 사용해 반복적으로 짝짓기를 합니다. 처음 짝짓기를 할 때 각각의 민달팽이들은 자신의 음경을 분리하고, 24시간 이내에 새로운 음경을 자라게 하며, 그 후 두 번째 짝짓기를 한다. 과학자들은 첫 번째 음경이 주사기 역할을 하여 이전 경쟁자들이 남긴 정자를 제거한다고 추측합니다. 다른 음경은 두 바다 민달팽이 안에서 감겨진 채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수많은 알

바다 민달팽이는 짝짓기를 한 후, 알을 낳는다. 어떤 종은 한 번에 몇 개씩 낳지만, 또 다른 종은 수천 개에서 수백만 개씩 낳습니다. 종종 위 사진 속 리베시아 트라이오니(Risbecia tryoni)처럼 나선형의 리본처럼 되어 있거나 때로는 나웃소돈타 잔내(Knoutsodonta jannae)처럼 분리된 집단으로 놓여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다 민달팽이를 찾는 사람들에게 알은 작고, 눈에 띄지 않는 종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버티반트(Heather Buttivant)는 “그들은 자신의 몸 크기의 몇 배에 달하는 알을 낳는다”고 말합니다. 이 알들은 부화하는데 며칠 혹은 몇 주가 걸릴 수 있는데 이는 작은 바다 민달팽이 또는 작은 나선형 껍질을 가진 ‘밸리저(veligers)’라고 불리는 헤엄치고 있는 유충으로 더 자주 보입니다. 밸리저들은 헤엄쳐 돌아다니다가 껍데기를 버리고 해저에 정착해 성체로 성장하게 됩니다. 

위험한 식사

북대서양에서 온 이 바다 민달팽이(Flabellina nobilis)는 꽃처럼 생긴 히드로충의 찌르는 촉수에 쏘이지 않고 잘 먹고 지냅니다. 이것들의 입, 목, 위는 질긴 키틴으로 길게 늘어서 있고 독침 세포를 멈추게 하는 점액을 만들어냅니다. 바다 달팽이는 미세한 독이 묻은 작살과 같은 발포되지 않는 히드로충의 침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를 피부에 있는 주머니 속으로 밀어 넣어 포식자에 대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버티반트(Heather Buttivant)는 “바다 민달팽이는 매우 허약해 보이지만 실제로 모든 종류의 방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영국 해안에 사는 바다 민달팽이 중 한 종은 공격을 받았을 때 피부에서 황산을 쏘아대기도 합니다.

 

먹이를 향한 간절함

사자 갈기 나새류(Melibe leonine)도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바다 민달팽이다.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해조류 숲(kelp forest)에 살며 화려한 촉수가 있는 장식이 달린 덮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냥을 위해 켈프 엽상체를 꽉 잡고 좌우로 흔들며 덮개로 휩씁니다. 작은 플랑크톤 같은 동물들이 헤엄쳐 지나가다 촉수를 건드리면 덮개는 재빨리 문을 닫고 먹이를 가둡니다. 사자 갈기 나새류는 수박처럼 달콤한 냄새가 나는데 이를 통해 포식자들을 따돌리고 짝을 유혹합니다. 플랑크톤을 먹는 바다 달팽이의 또 다른 종은 사냥을 돕기 위해 히드로충을 이용합니다. 히드로충을 먹으면, 히드로충이 방금 먹은 플랑크톤과 함께 먹게 돼 기본적으로 두 끼 분량을 먹는 셈입니다.


글: 헬렌 스케일스(Helen Scales) (@helenscales)
헬렌은 해양 생물학자이자 방송인이자 작가이다. 그녀의 저서 <The Brilliant Abyss>가 2021년 2월 출간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