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생활에서 나오는 폐지를 자원화하기 위해 마련된 ‘카본머니시스템(Carbon Money System) 리빙랩’이 시연됐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은 강원대학교 정문 앞 카본카페와 대학 내 커피숍 등에서 A4 폐지 수거장치와 ICT를 접목시킨 앱(APP)을 활용, 강원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카본머니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을 선보였는데요. 이번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생활쓰레기 재활용시스템 구축 및 카본머니시스템 확산을 통한 신산업 창출’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강원대학교, 한국기후변화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참여·연구 중입니다.
카본머니시스템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개발한 원천기술인 In-Situ PCC* 기술을 적용해 한국기후변화연구원에서 수거장치와 포인트 제공 앱(APP)을 개발했고, 강원대학교에서 시연하고 있는 산학연 연계 프로젝트입니다.
*In-Situ PCC 기술 : 폐지 및 CO₂를 활용하여 폐지펄프 내에 있는 PCC(석회석 원석을 활용한 생석회 침강성탄산캄슘)를 직접 동시에 합성시켜 친환경 고급인쇄용지를 제조하는 기술

‘카본머니시스템’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호, 올바른 재활용 및 자원순환의 중요성 인지를 목적으로 개발돼 지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성공적으로 시연한 바 있습니다. 특히 수거한 폐지를 금액으로 환산해 포인트로 지급하고 고급용지로도 재생산하는 마일리지 제도도 있는데요. 종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재생용지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포인트가 ‘카본머니’로 적립됩니다. 행사에 참가한 학생들은 수거한 A4 용지 5kg 당 5천 원의 포인트를 마일리지를 받아 교내 카본카페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총괄 연구책임자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지환 책임연구원은 “카본머니시스템을 활용한 리빙랩의 활성화는 우리 국민들의 자원재활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하며, “광물탄산화 기술의 적용과 고도화를 통해 기후변화의 효과적 대응과 친환경 저탄소 국가로 빠른 전환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오는 29일부터 10일간 동해시 망상해수욕장 일원에서 펼쳐지는 ‘제1회 망상 펀펀한 샌드마켓 ESG 캠페인’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리빙랩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