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황 전지의 터닝포인트
리튬-황 전지의 터닝포인트
  • 함예솔
  • 승인 2022.08.28 01:31
  • 조회수 138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GIST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 연구팀이 황(sulfur) 활물질이 담긴 다공성 실리카 중간층(interlayer)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여기서 활물질이란 전지가 방전할 때 화학적으로 반응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물질을 가리킵니다. 실리카는 이산화 규소를 가리킵니다. 암석이나 토사의 주성분인데요. 광섬유, 수정진동차 등 하이테크의 기초 소재입니다.

출처: Adobe stocks
출처: Adobe stocks

 

연구배경

최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전지를 대체할 '고에너지, 저비용'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가 활발한 이유입니다. 이 중 황을 양극소재로 사용하는 리튬-황 전지는 비싼 희토류를 양극소재로 사용하는 기존의 리튬이온 전지보다 수배 이상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습니다. 때문에 전기차, 드론 등 고에너지 장치에 활용이 기대됩니다. 또한, 황은 가격이 저렴하고, 풍부한 자원이면서 유해하지 않아 세계적으로 리튬-황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리튬과의 반응 과정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활물질인 '황'의 낮은 전도율과 전지의 충전과 방전시 생성되는 다황화물이 전지의 음극 쪽으로 확산되면서 황 활물질의 손실이 발생해 전지의 용량과 수명이 크게 악화됐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리튬-황 전지의 전기전도도를 높이거나, 다황화물을 잘 흡착해 확산을 저지 할 수 있는 물질로 층을 만들어서 황 전극과 분리막 사이(중간)에 새로운 층을 만들어 활용하는 중간층(interlayer) 기술이 적용돼 왔습니다. 

중간층 기술로 리튬-황 전지의 용량과 수명 향상을 위해 기존에 활용 중인 '전도성 탄소'는 황 전극에 전도성을 부여했지만, 극성 리튬 다황화물과의 친화력이 낮아 황의 확산을 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반면 '극성 산화물'을 중간층 소재로 활용하는 경우 극성 리튬 다황화물과의 상호작용이 뛰어나 황의 손실이 억제됐습니다. 전도도가 낮아 황의 활용도가 낮아졌습니다. 또한 기존에 적용된 다양한 중간층 물질들은 공통적으로 두껍고, 산화환원 활성이 없는 중간층의 삽입으로 상용화에 필요한 에너지 밀도와 사이클 수명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전기화학 반응이 진행될수록 황양극으로부터 리튬 다황화물질이 됩니다. 오른쪽 진한 색깔의 전해핵으로 바뀌는 거죠. 출처: DGIST

이에 연구팀은 판상형 다공성 실리카를 합성하고 그 안에 황을 담아서 산화환원 활성이 있는 새로운 다공성 실리카-황 중간층을 최초로 구현했습니다. 연구팀은 중간층에 담겨진 황 활물질로 전지 면적당 용량이 증가하고, 효과적인 리튬 다황화물 흡착 자리로서 극성 실리카/황 중간층이 존재함으로 리튬-황 전지의 용량과 수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실리카-황 중간층을 리튬-황 전지에 적용, 700회의 충전과 방전을 구동했습니다. 그 결과 700회 충방전 사이클 이후에 다공성 실리카-황 중간층이,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사용된 다공성 탄소-황 중간층 대비 훨씬 오랫동안 안정적이라는 점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10 mg/cm2 수준의 높은 황 함유량에도 높은 용량과 함께, 탁월한 장기 수명 특성을 증명했습니다. 또한 황 담지량 대비 낮은 전해질 양에서도 (낮은 E/S = 4) 우수한 전지 특성을 나타내 사용화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DGIST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는 "지금까지 시도하지 않았던 다공성 실리카 물질의 기공에 황을 담지한 물질을 용량과 수명 향상을 위한 리튬-황 배터리용 중간층 소재로 이용 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한 연구 성과"라며, "차세대 고에너지, 장수명 리튬-황 전지 개발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본 연구는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8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