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과 치매가 관련 있을까?
두통과 치매가 관련 있을까?
  • 함예솔
  • 승인 2022.09.05 18:52
  • 조회수 22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통과 치매는 다빈도 신경계 질환으로 일상적 기능 장애와 삶의 질 저하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회고령화에 따라 2030년에는 치매 환자가 20년마다 2배씩 증가하여 6,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기에 치매 위험인자의 식별을 통한 예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두통은 혈관 및 뇌 이상, 염증, 심혈관 질환 및 우울증을 포함한 위험인자와 동반 질환을 치매와 공유합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상반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므로, 대한민국 인구기반 대규모 코호트를 활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원발성 두통과 치매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한데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진단학교실 박지운 교수 및 예방치학교실 조현재 교수 연구팀이 두통과 치매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연구결과를 공개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약 47만명의 대상자를 평균 7.6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긴장형두통과 편두통은 모든 유형의 치매 위험을 높였다.
  2. 두통이 없는 사람에 비해 두통환자는 3개 이상의 동반질환을 갖는 비율이 1.5배 더 높았다. 
  3. 두통은 치매의 위험인자로서, 여성과 비흡연자에 더 큰 영향을 보였다.
  4. 동반질환이 없는 대상자 중 긴장형두통 환자는 편두통 환자보다 치매에 더 취약하였다.
8년 추척관찰기간동안 두통 유형에 따른 치매의 로그 생존확률에 대한 Kaplan-Meier 생존 곡선. 두통의 종류와 상관없이 두통환자군은 두통이 없는 군에 비해 치매에 대한 생존시간이 유의미하게 짧게 나타났다. 출처 : 서울대학교
8년 추척관찰기간동안 두통 유형에 따른 치매의 로그 생존확률에 대한 Kaplan-Meier 생존 곡선. 두통의 종류와 상관없이 두통환자군은 두통이 없는 군에 비해 치매에 대한 생존시간이 유의미하게 짧게 나타났다. 출처 : 서울대학교

두통과 치매의 연관성에 대한 사전문헌은 주로 편두통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에서는 편두통, 긴장형두통 및 상세불명의 두통 등 원발성 두통에서 치매와의 연관성을 파악했는데요. 두통의 종류와 상관없이 두통이 있는 경우 모든 유형의 치매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긴장형두통과 편두통은 치매에 대해 약 18%의 위험성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외의 상세 불명의 원발성 두통은 약 15%의 위험성을 올리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박지운, 조현재 교수는“긴장형두통과 편두통환자의 치매 발병률이 비슷하기 때문에 두통의 유형에 관계없이 적극적 진단 및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라며, 특히“여성 및 비교적 건강한 환자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기에 이러한 두통 환자군에서 철저한 중재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두통은 그 자체로도 환자의 기능 및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질환이나 치매 위험 증가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두통의 조기 진단과 시기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후속연구에서는 두통이 치매에 미치는 병리학적 기전 및 잠재적인 선제적 진단 조치를 추가로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