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조성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화여자대학교 이지희 교수 연구팀이 사멸된 암세포[1]가 암 관련 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s, 이하 CAF)를 타겟하여 Notch1 시그널-의존적 WISP-1[2] 생성을 유도하고, 측분비교신(paracrine communication)[3] 작용을 통해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는데요.
[1] 사멸된 암세포 : 사멸 세포가 그대로 방치되게 되면 세포내 물질들이 우리 몸에서 항원으로 작용,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더 나아가 자가 항체를 형성하게 되어 자가면역 질병을 일으키게 됨.
[2] Notch1 시그널-의존적 WISP-1 생성 : Notch1 신호전달 체계 활성화로 유도되는 단백질 WISP-1(Wnt‐induced signaling protein 1) 생성을 의미함.
[3] 측분비교신(paracrine communication) : 분비된 물질이 주변 가까운 곳의 세포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의미함.
연구팀에 따르면 암으로 인한 사망의 대부분은 암 전이가 원인입니다. 그러나 암 전이 기전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제 개발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죠. ㅜ특히, 종양 미세환경은 암세포의 성장과 진행, 전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종양 미세환경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인 사멸된 암세포를 제거하는 기전은 암-특이적 면역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지만,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연구팀은 종양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중요 세포인 CAF와 사멸된 암세포를 공동 배양하여 배양액을 함유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CAF와 암세포 사이의 측분비교신은 악성 종양으로의 진행 및 전이 확산을 촉진하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조성물(사멸된 암세포에 노출된 CAF 배양액)을 종양 조직에 투여할 경우 CAF 활성화 마커의 발현이 억제되면서 암 성장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반면, WISP-1이 결핍된 사멸화 암세포에 노출된 CAF 배양액 투여 시 항종양성[4] 및 항전이성[5] 효과는 반전됐는데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WISP-1이 암 성장과 억제 작용에 있어 배양액의 핵심적 구성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4] 항종양성 : 세포가 정상적으로 분화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는 것을 종양이라하며 이를 억제함을 의미함
[5] 항전이성 : 암세포가 주위조직을 침투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조직으로 퍼져나가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함
이런 연구성과는 세포치료법의 부작용을 최소화한 CAF 및 사멸된 암세포 공동 배양액 조성물을 통해 세포치료제 개발 및 실용화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연구팀은 암 성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을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항암 면역치료 전략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 & 분자 면역학(Cellular & Molecular Immunology)’에 10월 14일 온라인 게재됐습니다.
논문명 : Reprogramming of cancer-associated fibroblasts by apoptotic cancer cells inhibits lung metastasis via Notch1-WISP-1 sign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