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은 2023년도 주요 천문현상을 발표했습니다.
10월 29일에는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일부 가려지는 부분월식을 볼 수 있고, 12월에는 관측 조건이 좋은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5월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는 반영월식이, 10월에는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부분적으로 가리는 부분월식이 있습니다. 5월 6일 반영월식은 0시 12분에 시작되며 4시 33분에 종료됩니다. 10월 29일 부분월식은 서울 기준 29일 새벽 4시 34분 30초에 시작해 5시 14분 6초에 최대(최대식분 0.127), 식의 전 과정은 7시 28분 18초에 종료됩니다. 이번 부분월식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인도양에서 관측 가능하다고 합니다.
일식은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놓일 때 달에 의해 태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려져 보이지 않는 현상이죠. 2023년에 일식 현상은 4월 20일 혼성일식과 10월 15일 금환일식이 있습나다. 그러나 이 두 번의 일식 모두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선 볼 수 없습니다.
3월에는 금성과 목성의 근접 그리고 달과 금성이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월 2일 20시에는 밤하늘에서 제일 밝은 두 행성인 금성과 목성이 0.5도 내로 근접하는데요. 3월 24일 19시 28분에는 달과 금성이 0.9도로 가까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대 유성우라 불리는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8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도 예년처럼 볼 수 있습니다. 새해 가장 먼저 찾아오는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1월 3일 밤과 자정을 넘어 4일 새벽에 많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극대시각이 8월 13일 16시 29분이라 13일 밤부터 14일 새벽에 관측하기 좋을 것으로 예상합니다다.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시각은 12월 15일 4시입니다. 극대시간이 새벽이며 밤새도록 달이 없는 하늘이기 때문에 관측에 좋은 환경입니다.
2023년 가장 큰 보름달은 8월 31부터 9월 1일 새벽까지 볼 수 있는 달입니다.
1. 1월 3~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 극대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 중 하나인데요. 사분의자리라는 별자리는 사라졌지만, 예전부터 부르던 관습에 따라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부르죠. 올해 사분의자리 유성우 관측 최적기는 1월 3일 밤을 넘어 1월 4일 새벽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올해 사분의자리 극대시간은 1월 4일 5시 40분이고,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입니다. 극대시간이 새벽이고 달도 밤새도록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관측 조건이 좋은 편입니다.
2. 1월 23일 금성과 토성의 근접
1월 23일 저녁 남서쪽 하늘에서 금성과 토성은 약 0.5도 내로 근접합니다. 두 행성에서 약 4도 떨어진 곳에는 초승달이 있는데여. 같은 시각 목성과 화성도 한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3. 2월 2일 C/2022 E3(ZTF) 혜성 근지점 통과
2월 2일 C/2022 E3(ZTF) 혜성이 지구 가장 가까운 곳(근지점)을 지나갑니다. 근지점 통과 무렵 천구 북극 근처에 위치해 관측 조건은 매우 좋은데요. 예상 밝기는 4~5등급으로 올해 혜성 중 가장 밝을 전망입니다. 다만 근지점 전후로 달이 있어 관측 시점을 달이 진 후나 뜨기 전이 적합하며, 2일의 경우 달이 뜨기 전 새벽이 관측 환경이 좋습니다.
4. 3월 2일 금성과 목성의 근접, 3월 24일 금성 엄폐(제주 한정)
3월 2일에는 밤하늘에서 제일 밝은 두 행성 금성과 목성이 근접합니다. 금성과 목성은 0.5도로 근접해 거의 붙은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한편, 3월 24일에는 제주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 금성 엄폐 현상이 있는데요. 21시 14분에 달 오른쪽 밤 지역으로 들어간 금성은 21시 23분에 빠져나올 예정입니다. 엄폐 현상이 시작되는 고도가 약 4도, 끝날 때는 2.5도에 불과해 지평선이 완전히 열린 곳에서만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 지역에서는 초승달과 금성이 매우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19시 28분에는 달과 금성이 0.9도로 가까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5. 5월 6일 반영월식
반영월식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데요. 그래서 달이 약간 어두워지는 정도에 그칩니다. 이번 반영월식은 5월 6일 0시 12분부터 시작되며, 식의 최대 시간은 2시 22분 54초이며, 4시 33분에 종료됩니다. 이번 월식은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유럽에서 볼 수 있다고 하네요.
6. 8월 13일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극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109P/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만들어집니다.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시간은 13일 16시 29분이며, 13일 밤부터 14일 새벽까지 꽤 많은 유성을 볼 수 있습니다.
7. 8월 31일 올해 가장 큰 달
올해 가장 큰 달은 8월 31일 밤부터 9월 1일 새벽까지 볼 수 있는 달입니다. 8월 31일 달은 서울 기준 19시 29분에 떠서 1일 오전 7시 1분에 지는데요. 8월 31일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7,300km로 지구-달 평균 거리인 384,400km보다 약 27,100km 이상 가깝습니다. 가장 작은 달은 2월 6일에 뜨는 달입니다.
8. 9월 한가위 보름달
2023년 한가위인 9월 29일 보름달은 서울 기준 18시 23분에 뜹니다. 달이 가장 높게 뜨는 시각은 다음날 0시 37분이며, 7시 2분에 집니다. 각 지역에서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은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http://astro.kasi.re.kr/life/pageView/6)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9. 10월 29일 부분월식
10월 29일 새벽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일부 가려지는 부분월식 천문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날 부분식이 4시 34분 30초에 시작되며, 5시 14분 6초에 최대(최대식분 0.127), 5시 53분 36초에 종료되는데요. 이후 식의 전 과정은 7시 28분 18초에 끝이 납니다. 이번 월식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인도양에서 볼 수 있습니다.
10. 12월 15일 쌍둥이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3200페톤(3200 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입니다. 올해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시간은 12월 15일 4시이며,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인데요. 새벽 시간이고 밤새도록 달이 없는 하늘이기 때문에 관측에 좋은 환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