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실내조명 환경에서 태양광 발전 효율을 세계 최고 기록인 36% 이상 달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심재원 교수 연구팀과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박재홍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실내용 유기 광전지[1] 광학 효율 및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핵심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는데요.
지속가능하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기술 수요가 증가하면서 실내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기물기반[2] 실내광전지는 저전력 실내 전자 장치의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태양광 발전 기술은 어두운 조명 조건 등으로 인해 실내 적용이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재료와 장치 개발이 필수인데요. 현재까지 개발된 실내광전지는 실용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특히 전력 변환 효율(PCE) 값과 수명에서 대대적인 보완이 필요합니다.
연구진은 실내 태양광 전지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박막의 재료를 새롭게 개발하고 표면의 성질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접근했습니다. 먼저, 자기조립단층(SAM[3]) 기반의 재료 중 특정 물질(2PACz)을 광활성층에 활용했는데, 마치 물과 기름처럼 자발적인 수직 상분리를 이루면서 수직 구성물 분포를 형성했습니다. 전하이동 수율을 크게 개선하여 실내광전지의 재결합[4]과 누설 전류를 크게 억제함으로써 광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죠. 또한, 특정 물질(2PACz)이 처리된 ITO(인듐주석산화물[5])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정렬을 제공, 보다 효율적인 경로로 전하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됐습니다.
같은 과정으로 최적화된 실내광전지는 일반적인 실내조명 (White LED 1000 lx) 환경에서 36% 이상으로 세계 최고 효율이라는 기록적인 PCE를 달성했습니다. 또한 이 장치는 캡슐화 없이 대기 중에서 1,800시간 후에도 초기 효율의 95%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장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했습니다.
심재원 교수는 이번 성과에 대해 “실내광전지가 높은 효율과 장기적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하는데 막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실내 환경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해당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Nano Energy'에 3월 7일 게재됐습니다.
논문명 : Record Indoor Performance of Organic Photovoltaics with Long-Term Stability Enabled by Self-Assembled Monolayer-Based Interface Management
#용어설명
[1] 실내용 유기 광전지 : 실내조명과 같은 낮은 세기의 빛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
[2] 유기물기반 : 태양전지는 박막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무기/유기 태양전지로 나뉠 수 있다. 전형적인 태양전지는 무기 반도체인 결정성 실리콘을 도핑해 만드는데 전력 효율이 최대 24%로 한계를 보이고 있음
[3] 자기조립단층(Self Assembled Monolayer): 고차원의 분자 조립체로 표면 위에 기능성 분자들의 화학적 흡착에 의해 측면으로 배열하고 있는 형태
[4] 태양전지 재결합 : 태양전지의 효율은 재결합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재결합 손실은 반도체 내의 전자들과 홀들 간의 반응을 지칭한다
[5] ITO(Indium tin oxide, 인듐주석산화물) : 투명하면서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하는 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