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년 전 가야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1,700년 전 가야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삼국시대 한반도인의 게놈을 최초로 분석한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고대 한국인은 큰 틀에서 최소 2개의 유전자 정보 제공 그룹이 있었는데요.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유전적... 이웃집과학자 2022.06.22 22:12 태양계 끝자락 맴도는 천체 26개 태양계 끝자락 맴도는 천체 26개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지난 2019년부터 최근까지 태양계 가장 바깥에 있는 무리의 천체 26개를 발견해, 소행성센터(Minor Planet Center)로부터 공인받았... 이웃집과학자 2022.06.14 01:12
프린트 해서 만드는 유기태양전지, 대면적화 기술 개발 프린트 해서 만드는 유기태양전지, 대면적화 기술 개발 이웃집과학자 2022.06.09 12:00 기존 개념을 깬 새로운 면역 T 세포 발견 기존 개념을 깬 새로운 면역 T 세포 발견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연구팀이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주동진, 박준용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의 특성을 모두 ... 이웃집편집장 2022.06.08 21:09
감염 예방 가능한 피부 일체형 항균 나노 패치 개발 감염 예방 가능한 피부 일체형 항균 나노 패치 개발 한-일 국제 공동연구진이 감염을 예방하면서도 피부 고유의 상태와 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항균 나노메쉬 패치를 개발했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은 감염병연구센터 권오석 ... 이웃집편집장 2022.06.23 23:15
용량이 작아도 화질을 높일 수 있을까? 용량이 작아도 화질을 높일 수 있을까? 이웃집편집장 2022.06.22 21:57 2022년 최고의 남․북극 사진은? 2022년 최고의 남․북극 사진은? 극지연구소가 제 12회 극지사진콘테스트 수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남극장보고과학기지 오로라 모습을 촬영한 ‘장보고에 내리는 빛’ (이창섭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이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웃집과학자 2022.06.21 22:59 종이 만들고 남는 찌꺼기, 완벽하게 재활용하는 방법 종이 만들고 남는 찌꺼기, 완벽하게 재활용하는 방법 종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찌꺼기(크래프트 리그닌)’를 알뜰하게 활용해 ‘나일론 원료’를 만드는 촉매 공정이 개발됐습니다. 버려지던 물질을 자원으로 다시 쓰게 하는 기술이라 ... 이웃집과학자 2022.06.20 23:00
인간 뇌처럼 뉴런-시냅스 동시 구동 모사한 메모리 최초 구현 인간 뇌처럼 뉴런-시냅스 동시 구동 모사한 메모리 최초 구현 KAIST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이 100 nm(나노미터) 두께의 단일 소자에서 뉴런과 시냅스를 동시에 모사하는 뉴로모픽(neuromorphic) 메모리를 개발했습니다. 뉴런은... 이웃집편집장 2022.06.23 23:22 KAIST, 소형(20큐비트급) 리드버그 양자컴퓨터 개발 KAIST, 소형(20큐비트급) 리드버그 양자컴퓨터 개발 KAIST 물리학과 안재욱, 문은국 교수 연구팀이 20큐비트급 리드버그 양자컴퓨터를 개발해 계산과학의 난제인 최대독립집합 문제를 계산해냈습니다. 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사용... 이웃집과학자 2022.06.22 22:20
스핀-궤도 결합 없는 3차원 위상절연체 구현 스핀-궤도 결합 없는 3차원 위상절연체 구현 이웃집과학자 2022.06.21 23:09 플라즈마 이용 피부 보호 가능한 소독제 개발 플라즈마 이용 피부 보호 가능한 소독제 개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하 핵융합(연)) 플라즈마기술연구소 홍용철 책임연구원, 김강일 책임연구원은 ㈜아이씨디, ㈜플라리트와 공동연구를 통해 플라즈마를 이용해 합성한 ‘라디칼수(水)... 이웃집편집장 2022.06.16 21:59 빛 에너지 이용해 고효율의 친환경 암모니아 합성법 제시 빛 에너지 이용해 고효율의 친환경 암모니아 합성법 제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도창 교수, 이상엽 특훈교수, 박영신 연구교수 연구팀이 디스플레이 소재인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해 질소 고정 박테리아의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대폭 늘렸습... 이웃집편집장 2022.06.16 21:55 익숙한 구조에서 발견한 새로운 현상, 위상홀효과 익숙한 구조에서 발견한 새로운 현상, 위상홀효과 이웃집과학자 2022.06.14 16:25 질병 세포만 찾아 교정 치료 가능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 질병 세포만 찾아 교정 치료 가능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 KAIST 의과학대학원 이지민 교수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오승자 선임연구원, 강원대학교 이주용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질병 세포에서만 핵 내 유전자 교정을 수행할... 함예솔 2022.06.14 16:19 우리 컴퓨터가 실내공기 오염시킨다고? 우리 컴퓨터가 실내공기 오염시킨다고?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과열된 컴퓨터에서도 배출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UNIST 도시환경공학과 최성득 교수팀은 컴퓨터에서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나와 실... 이웃집과학자 2022.06.14 01:21 면역활성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으로 면역 항암 치료법 개발 실마리 면역활성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으로 면역 항암 치료법 개발 실마리 함예솔 2022.06.14 01:00 온실가스로 수소‧일산화탄소 가스 만드는 획기적 촉매 온실가스로 수소‧일산화탄소 가스 만드는 획기적 촉매 온실가스를 이용해 수소나 일산화탄소처럼 유용한 가스를 만드는 ‘합성가스 촉매 기술’이 나왔습니다. 상업화를 위한 여러 조건도 만족해 상용화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UNIST 에너지화... 이웃집편집장 2022.06.08 20:55 차세대 뉴로모픽 구현을 앞당길 멤리스터 기반 고신뢰성 인공 뉴런(신경세포) 어레이 개발 차세대 뉴로모픽 구현을 앞당길 멤리스터 기반 고신뢰성 인공 뉴런(신경세포) 어레이 개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신현 교수 연구팀이 뛰어난 안정성과 집적도가 높은 우리 뇌의 뉴런 세포의 동작을 모사하는 고신뢰성 차세대 저항 변화 소자(멤리스터) 어레이를 개발했습니... 이웃집과학자 2022.06.07 22:50 6G 통신용 저전력 초고속 반도체 소자 개발 6G 통신용 저전력 초고속 반도체 소자 개발 이웃집과학자 2022.06.07 22:18 올레핀 환원 커플링 반응을 통한 비대칭 탄소-탄소 결합 생성 반응 개발 올레핀 환원 커플링 반응을 통한 비대칭 탄소-탄소 결합 생성 반응 개발 성균관대학교 화학과 윤재숙 교수 연구팀이 구리 촉매를 이용한 두 개의 올레핀으로부터 입체선택적인 연속 비대칭 반응을 통해 다중 카이랄성을 가진 화합물을 만드는 합성법을 개발했습니다... 이웃집과학자 2022.06.03 00:24 통증의 개인차에 대한 뇌과학적 단서 규명 통증의 개인차에 대한 뇌과학적 단서 규명 같은 세기의 통증 자극이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통증의 세기와 뇌 반응은 모두 다르죠. 하지만 이제까지 대부분의 통증 뇌연구는 모든 사람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뇌 반응 패턴에만 집중... 이웃집과학자 2022.05.31 22:04
O P I N I O N 2022년 최고의 남․북극 사진은? 2022년 최고의 남․북극 사진은? 국내외 오픈액세스 출판 동향과 시사점 국내외 오픈액세스 출판 동향과 시사점 DGIST 고재원 교수팀, 신경회로 관련 연구에 새로운 지침 제공하다 DGIST 고재원 교수팀, 신경회로 관련 연구에 새로운 지침 제공하다 부산대학교, 조민씨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취소부산대학교, 조민씨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취소 ...
많이 본 뉴스 태양계 끝자락 맴도는 천체 26개 1 태양계 끝자락 맴도는 천체 26개 1,700년 전 가야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2 1,700년 전 가야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물리 이론 학습하는 인공지능 탄생, 응용문제도 ‘척척’ 3 물리 이론 학습하는 인공지능 탄생, 응용문제도 ‘척척’ 전기 10배 잘 통하는 필름형태 열전소재 개발 4 전기 10배 잘 통하는 필름형태 열전소재 개발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수문장(Gatekeeper) 단백질 5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수문장(Gatekeeper) 단백질 우리 컴퓨터가 실내공기 오염시킨다고? 6 우리 컴퓨터가 실내공기 오염시킨다고? 익숙한 구조에서 발견한 새로운 현상, 위상홀효과 7 익숙한 구조에서 발견한 새로운 현상, 위상홀효과 용량이 작아도 화질을 높일 수 있을까? 8 용량이 작아도 화질을 높일 수 있을까? 면역활성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으로 면역 항암 치료법 개발 실마리 9 면역활성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으로 면역 항암 치료법 개발 실마리 감염 예방 가능한 피부 일체형 항균 나노 패치 개발 10 감염 예방 가능한 피부 일체형 항균 나노 패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