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하고 '유연'하게 생체신호 감지한다
'민감'하고 '유연'하게 생체신호 감지한다
  • 강지희
  • 승인 2019.12.13 12:45
  • 조회수 2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러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출처: pixabay
여러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출처: pixabay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연구팀에서 생체 신호 및 신체 압력 모니터링에 활용가능한 액체 금속 기반의 웨어러블 유연 압력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맥박, 혈압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욕창과 같이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질병 예방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해당 연구 논문은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게재됐습니다.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표지. 출처: KAIST

 

유연하고 민감한 센서

 

최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웨어러블 유연 센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능성 소재를 기반으로 다양한 고감도의 유연 센서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기존의 고체 소재 기반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활용되기에는 신축성, 신호 반복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한계를 보입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액체 소재 기반 유연 센서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액체 전극 중에서도 특히 갈린스탄(Galinstan)과 같은 액체 금속은 신축성에 제한이 없습니다. 또한 무독성, 높은 전기 전도도, 전기ㆍ기계적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가졌죠. 덕분에 신축성 소자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요소로써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액체 금속 기반 유연 압력 센서는 안정적이지만 매우 감도가 낮습니다. 때문에 맥박이나 신체 압력 모니터링과 같은 수 kPa 수준의 작은 범위의 압력 측정에 활용하기 어려웠습니다.

마이크로 범프가 집적된 액체 금속 기반 유연 압력 센서. 출처: KAIST

이번 연구에서는 다중물질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단단한 마이크로 범프 구조물을 액체 금속 채널에 배치해 작은 압력에도 신호 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마이크로 범프가 없는 일반 액체 금속기반 압력 센서보다 6배 이상의 높은 감도를 얻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고체 기반 유연 압력 센서 수준의 감도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활용한다

높은 감도와 안정적 성능의 유연 센서 및 신체 압력 측정 어플리케이션. 출처: KAIST

개발된 유연 압력 센서는 1만 회 이상의 인장, 굽힘 등 다양한 물리 변형에도 안정적인 신호 회복을 보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환경 요인(온도, 습도)에도 안정적인 감지 성능을 보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써 활용될 수 있는 큰 가능성을 보였죠. 연구팀은 이러한 성능을 바탕으로 평상시와 운동 시의 맥박, 혈압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지해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센서가 부착된 양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누워있는 사람의 다양한 자세 변화 도중 나타나는 신체 압력 및 그 변화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박인규 교수 연구팀. 출처: KAIST

박인규 교수는 "개발한 고감도 및 고신뢰성 액체 금속기반 유연 압력 센서를 통해 다양한 생체 건강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다"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헬스 케어ㆍ헬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특히 욕창과 같이 압력으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질병 관리 및 예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