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는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 현상을 겪고 있다. 맑은 날씨가 순식간에 집중호우로 바뀌고, 불과 10분 만에 도로가 잠기며, 20분이 더 지나면 거리가 물바다로 변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필자(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는 대기과학자 조천호 박사를 만났다.
조천호 박사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 30년간 근무한 경력을 가진 전문가로, 현재는 은퇴 후 기후변화 관련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Q: 최근 기상 현상의 특이점은 무엇인가요?
A: 최근 우리나라의 강수 패턴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6월 말에서 7월 말까지가 장마 기간으로, 북태평양 고기압 주변에서 수증기가 시계 방향으로 남서쪽에서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시아 대륙의 차갑고 건조한 기단(시베리아쪽)과 태평양의 뜨거운 공기가 만나 상당히 불안정한 대기 상태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죠.
특히 주목할 점은 우리나라가 전통적으로 북태평양의 기단 영향보다는 대륙(시베리아)의 영향을 좀 더 받는 추세로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상 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Q: 이러한 변화가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나요?
A: 네, 그렇습니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기후변화는 자연적인 변화와는 다릅니다. 과거 빙하기와 간빙기의 변화는 천 년에 1도 정도였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한 현재의 기후변화는 100년 만에 1도가 상승했습니다. 이는 자연적인 변화 속도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기후 균형을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로 인해 기후 자체가 불안정해지고, 그 결과 극단적인 날씨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변화의 크기보다는 변화의 속도가 문제인 것입니다.
Q: 최근의 집중호우는 스콜과는 다르다고 하셨는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A: 스콜은 주로 아열대 해양성 기후 지역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여름철 땅바닥이 뜨거워지면서 그 지역의 공기가 불안정해져 오후쯤 비를 내리는 현상입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최근 집중호우는 북쪽의 차갑고 건조한 대륙성 기단과 태평양의 습하고 뜨거운 공기가 만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그 특성이 많이 다릅니다.
Q: 이러한 급격한 변화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 대기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다양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난류 현상이 심해지고 있어 비행 중 안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기 자체의 불안정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난류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폭염의 강도도 세지고 있는데, 이는 대기와 해양에서의 수증기 순환이 더욱 활발해졌기 때문입니다. 구름이 더 높이 올라가고, 그에 따라 내려오는 공기도 더 강해져 아열대 고압부에서는 더 높은 기온이 나타나게 됩니다.
Q: 한국의 미래 기후는 어떻게 될까요?
A: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으로, 자연의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여름철 최고 기온과 겨울철 최저 기온의 차이가 50도 이상 나는 등 자연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이는 오히려 기후변화에 대한 회복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자연 변동성이 작은 미국 서부, 호주, 남유럽 등의 지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이 더 빨리,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측면에서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비교적 늦게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식량, 자원, 에너지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기후변화의 간접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습니다. 세계 여러 지역의 변화에 우리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Q: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A: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문제입니다. 한국은 지리적 위치 덕분에 직접적인 피해는 상대적으로 늦게 올 수 있지만, 세계 경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간접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대비가 필요합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기후변화가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는 먼 미래의 일이 아닌 현재 진행형의 문제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면서도, 동시에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