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만든다 에틸렌,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만든다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에틸렌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에틸렌은 플라스틱, 각종 건축자재, 비닐, 합성고무 등의 원료로 쓰여 석유화학 산업의 쌀로 불리죠. UNIST는 에너지... 이웃집과학자 2022.04.24 20:17 기후모델과 고고학자료로 인간진화의 수수께끼 해결 기후모델과 고고학자료로 인간진화의 수수께끼 해결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연구팀이 독일, 스위스 연구진과 함께 기후 변화와 인류 진화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기초과학연구원이 보유한 ... 이웃집과학자 2022.04.14 17:15
한국인 장내 유익균의 진화와 경쟁우위 규명될까? 한국인 장내 유익균의 진화와 경쟁우위 규명될까? 이웃집과학자 2022.04.11 20:00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용 분광기 개발해 첫 관측 성공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용 분광기 개발해 첫 관측 성공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일본국립천문대(NAOJ)와 공동으로 세계 최대 전파간섭계 망원경 ALMA(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 이웃집과학자 2022.03.25 13:30
‘컴퓨터의 시간을 멈춘다’ 전원 공급 없이도 모든 정보가 복원, 작동되는 비휘발성 컴퓨터 세계 최초 개발 ‘컴퓨터의 시간을 멈춘다’ 전원 공급 없이도 모든 정보가 복원, 작동되는 비휘발성 컴퓨터 세계 최초 개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컴퓨터 아키텍처 및 메모리 시스템 연구실)이 컴퓨터의 시간을 멈추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 `경량화된 비휘발성 컴퓨팅 시스템(Li... 이웃집과학자 2022.04.26 00:05
코로나19 감염환자에서 유발되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 규명 코로나19 감염환자에서 유발되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 규명 함예솔 2022.04.24 19:59 실 한오라기에 흰색의 빛을 내는 OLED 섬유 기술 최초 구현 실 한오라기에 흰색의 빛을 내는 OLED 섬유 기술 최초 구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 연구팀이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 위에 흰색의 빛을 발산하는 섬유 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전자 섬유는 기술을 입는다는... 이웃집과학자 2022.04.24 19:52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의 cagA 암유전자 복제 수 변화 기전 규명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의 cagA 암유전자 복제 수 변화 기전 규명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사람의 위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감염되어 있습니다. 이는 위암을 비롯한 위장질환 발생의 주원인 중 하나인데요. 위암 원인균인 헬리코... 이웃집편집장 2022.04.14 16:55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교정 기술 최초 개발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교정 기술 최초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전(前)단장 김진수)은 세계 최초로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A) 염기 교정 도구인 ‘TALED(Transcription Activa... 이웃집과학자 2022.04.26 12:05 재활용 안 되던 플라스틱, 재활용 가능해진다 재활용 안 되던 플라스틱, 재활용 가능해진다 접착제나 타이어 고무처럼 한 번 경화(단단하게 굳어짐)되면 분자구조가 변해 재가열을 해도 녹지 않는 ‘열경화성 고분자’는 우리 주변 곳곳에 쓰이지만, 재활용이 어려워 전량 폐기됩니... 이웃집편집장 2022.04.13 23:40
초음파로 체내 금속 탐지하는 진단 기술 개발 초음파로 체내 금속 탐지하는 진단 기술 개발 이웃집편집장 2022.04.13 23:35 대기수분을 이용한 고성능 압전 고분자 섬유 소재 개발 대기수분을 이용한 고성능 압전 고분자 섬유 소재 개발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미소 교수 연구팀(제 1공동저자 김다빈 연구원)이 대기 중 수분을 이용하여 섬유형 자가발전 모션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기계적 변형에 의해 전기를 생산할 ... 이웃집과학자 2022.04.06 02:17 이미지없음 부산대학교, 조민씨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취소 부산대학교는 (1) 부산대학교 학칙 제10조 제1항, 제46조 제2항, (2) 「2015학년도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신입생 모집요강」, 그리고 (3) 행정기본법 제18조 제1항에 근거하여, 2022년 4월 5일 조민의 2015학년도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을 취소하기로 결정... 이웃집과학자 2022.04.05 19:30 친환경 바인더를 사용한 금속 3D 프린팅 기술 개발 친환경 바인더를 사용한 금속 3D 프린팅 기술 개발 함예솔 2022.03.09 21:19 신개념 고방열 복합소재 개발 신개념 고방열 복합소재 개발 발열 이슈가 많은 전기차용 전장부품 시장에 널리 적용되고, 배터리·디스플레이·반도체 부품의 열관리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고방열 복합소재’를 개발됐습니다. 중앙대는 화학신소재공학... 이웃집과학자 2022.03.09 20:58 6개의 표적 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질병 물질 검출 종이 센서 개발 6개의 표적 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질병 물질 검출 종이 센서 개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이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학과 김문일 교수팀, POSTECH 화학공학과의 한정우 교수팀과 함께 새로운 무기 소재(*나노자임, Nanozym... 이웃집과학자 2022.03.09 20:30 질소산화물(NOx)의 탈질화 및 고부가화 촉매 반응 개발 질소산화물(NOx)의 탈질화 및 고부가화 촉매 반응 개발 보도자료 2022.03.09 09:00 물젖음현상을 이용한 색변환 빛스위치 기술 개발 물젖음현상을 이용한 색변환 빛스위치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맨눈으로 검지 가능한 색변환 분자 감지 센서의 원천기술을 확보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및 고려대학교 KU-KIST 융합대학원의 유용상 박사... 이웃집편집장 2022.03.07 12:55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끼는 로봇 의수 실용화, 첨단 광학 영상 기술로 앞당긴다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끼는 로봇 의수 실용화, 첨단 광학 영상 기술로 앞당긴다 손이나 팔이 절단된 환자가 생각하는 대로 움직이고, 로봇 손이 느끼는 촉감각을 다시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말초신경 인터페이스 기반 로봇 의수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 이웃집과학자 2021.12.29 00:27 물질 원자 보는 현미경으로 다이아몬드의 빛 검출한다 물질 원자 보는 현미경으로 다이아몬드의 빛 검출한다 이웃집과학자 2021.12.29 00:21 새로운 비만 치료 기술 확보? 새로운 비만 치료 기술 확보?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배외식 교수 연구팀(제1저자 김형식․박민영 연구원)이 지방조직에서 지방의 연소를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인 포스포리파제 D2(PLD2)의 기능을 규명했다고 밝혔... 이웃집과학자 2021.12.25 20:17 전기로 조절하는 비선형 광학 메타표면 개발 전기로 조절하는 비선형 광학 메타표면 개발 UNIST(이용훈) 전기전자공학과 이종원 교수팀이 전기로 조절 가능한 ‘비선형 광학 메타표면’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광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 이웃집과학자 2021.12.25 20:10
많이 본 뉴스 실 한오라기에 흰색의 빛을 내는 OLED 섬유 기술 최초 구현 1 실 한오라기에 흰색의 빛을 내는 OLED 섬유 기술 최초 구현 기후모델과 고고학자료로 인간진화의 수수께끼 해결 2 기후모델과 고고학자료로 인간진화의 수수께끼 해결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의 cagA 암유전자 복제 수 변화 기전 규명 3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의 cagA 암유전자 복제 수 변화 기전 규명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기전 최초 규명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기전 최초 규명 에틸렌,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만든다 5 에틸렌,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만든다 코로나19 감염환자에서 유발되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 규명 6 코로나19 감염환자에서 유발되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 규명 ‘컴퓨터의 시간을 멈춘다’ 전원 공급 없이도 모든 정보가 복원, 작동되는 비휘발성 컴퓨터 세계 최초 개발 7 ‘컴퓨터의 시간을 멈춘다’ 전원 공급 없이도 모든 정보가 복원, 작동되는 비휘발성 컴퓨터 세계 최초 개발 새로운 관측법으로 중력렌즈 퀘이사를 발견 가능 8 새로운 관측법으로 중력렌즈 퀘이사를 발견 가능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교정 기술 최초 개발 9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교정 기술 최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