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외핵 최상부의 새로운 모델? 지구 외핵 최상부의 새로운 모델?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이용재 교수(고압광물물리화학연구단) 연구팀이 맨틀 깊숙이 이동한 물이 핵의 주성분인 철과 반응함으로써 지구 외핵의 최상부에 수소가 풍부한 층을 형성할 수... 이웃집과학자 2023.11.28 21:01 뇌 기능 조절해 다이어트 가능할까? 뇌 기능 조절해 다이어트 가능할까?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시상하부의 기능을 조절해 살을 빼는 새로운 비만치료 후보 물질에 대한 연구가 소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디지스트(DGIST) 김은경 교수 연구팀이 새... 이웃집과학자 2023.11.28 20:38
세계 최대급 망원경인 전용 분광기 개발 세계 최대급 망원경인 전용 분광기 개발 이웃집과학자 2023.11.26 23:40 KAIST-IBS, 인공지능으로 북한 등 경제지표 추정하다 KAIST-IBS, 인공지능으로 북한 등 경제지표 추정하다 유엔기구(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따르면 하루 2달러 이하로 생활하는 절대빈곤 인구가 7억 명에 달하는데요. 그런데 그 빈곤의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웃집과학자 2023.11.26 23:30
남해 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증가 추세 남해 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증가 추세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남해 연안인 마산만과 진해만 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1] 오염 수준을 측정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 함예솔 2023.11.28 20:52
방향 따라 색상 바뀌는 3D 프린팅 소재 개발됐다 방향 따라 색상 바뀌는 3D 프린팅 소재 개발됐다 이웃집편집장 2023.11.27 00:36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몸에 착 감기는 햅틱 기술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몸에 착 감기는 햅틱 기술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내 몸에 착 맞춰지는 옷감형 웨어러블 햅틱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 오일권 교수 연구팀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오그제틱 메타 구조... 함예솔 2023.11.25 21:04 변화된 데이터에서 AI 공정성 찾아낸다 변화된 데이터에서 AI 공정성 찾아낸다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죠. 최근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효과 이면에 범죄자의 재범 예측을 위해 머신러닝 학습에 사용되... 이웃집과학자 2023.10.30 15:00
잇몸과 뼈를 동시에 재생시키는 치과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잇몸과 뼈를 동시에 재생시키는 치과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홍진기 교수가 연세대 치과대학 최성환, 차재국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잇몸과 뼈의 재생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차폐막(Occlusive M... 함예솔 2023.11.30 14:29 KAIST, 구글딥마인드와 인공지능으로 시각을 상상하다 KAIST, 구글딥마인드와 인공지능으로 시각을 상상하다 ‘노란 포도'나 `보라색 바나나'와 같이 본 적 없는 시각 개념을 이해하고 상상하는 인공지능 능력 구현이 가능해졌습니다. KAIST는 전산학부 안성진 교수 연구팀이 ... 이웃집과학자 2023.11.30 14:26
전 세계 우주자원 전문가들 한자리에 전 세계 우주자원 전문가들 한자리에 보도자료 2023.11.30 14:23 15.5배 영상 심도 향상된 광학 영상 기술 15.5배 영상 심도 향상된 광학 영상 기술 국내 연구진이 광학 현미경의 15.5배 영상 심도[1] 향상이 가능한 이진 광 위상 구조(Binary phase filter, BPF)[2] 및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함예솔 2023.11.29 14:02 KAIST, 근현대 미술의 거장 故오승우 화백 기증 작품 특별전시 개최 KAIST, 근현대 미술의 거장 故오승우 화백 기증 작품 특별전시 개최 KAIST(총장 이광형)가 다음 달 4일부터 한국 근현대 미술의 거장 故 오승우 화백의 기증작품 특별전을 대전 본원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 KAIST 캠퍼스에서 개최한다고... 보도자료 2023.11.29 13:56 무단 굴착? 지하매설 배관 파손 원천차단한다 무단 굴착? 지하매설 배관 파손 원천차단한다 함예솔 2023.11.28 20:45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유연한 침’꽂아 도파민 실시간 측정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유연한 침’꽂아 도파민 실시간 측정 DGIST 장경인 교수 연구팀은 뇌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뇌 내(內) 도파민 농도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파민 측정 소자를 개발했습니다. 삽입 가능한 유연한 탐침... 이웃집편집장 2023.11.28 20:32 어디든지 붙이고, 모양도 바꿀 수 있는 스피커 어디든지 붙이고, 모양도 바꿀 수 있는 스피커 매우 얇은 두께에 모양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스피커가 개발됐습니다.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유연한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 가능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발전에 크게 기여가 될 것으... 이웃집과학자 2023.11.28 20:17 포스트 AI 시대 핵심 신소재는? 포스트 AI 시대 핵심 신소재는? 함예솔 2023.11.25 21:38 인공지능 챗봇 이미지 데이터 훈련 비용 최소화 가능하다 인공지능 챗봇 이미지 데이터 훈련 비용 최소화 가능하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심층 학습(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죠. GPT와 같은 거대 언어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수백 대의 GPU와 몇 주 이상의... 이웃집과학자 2023.11.25 21:12 “차가버섯, 근육감소증 치료에 효과” 규명… 치료제 개발 탄력 “차가버섯, 근육감소증 치료에 효과” 규명… 치료제 개발 탄력 숙명여자대학교는 약학부 배규운 교수가 ‘차가버섯이 근육감소증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앞서 노화 관련 근감소증 환자의 근육 기능을 조절하는 기전... 이웃집과학자 2023.10.31 12:45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UN 해양과학 10개년 계획 국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기관 선정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UN 해양과학 10개년 계획 국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기관 선정 콘택트 2023.10.31 12:39 자기장으로 배터리 내부 진단 가능할까? 자기장으로 배터리 내부 진단 가능할까? DGIST 에너지공학과 이홍경·이용민 교수, 중앙대학교 문장혁 교수 공동연구팀이 자기장 이미징 기법(Magnetic field imaging, MFI)을 사용해 배터리 내부 결함을... 함예솔 2023.10.31 12:33 고효율 양자점 형광체 개발 고효율 양자점 형광체 개발 형광체는 LED 등의 발광 소자 위에 도포됨으로써 본래의 LED 색을 다른 색으로 변환시키는 색변환 물질이죠. 현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형광체의 색변환 효율 ... 이웃집편집장 2023.10.30 21:07
O P I N I O N 전 세계 우주자원 전문가들 한자리에 전 세계 우주자원 전문가들 한자리에 KAIST, 근현대 미술의 거장 故오승우 화백 기증 작품 특별전시 개최 KAIST, 근현대 미술의 거장 故오승우 화백 기증 작품 특별전시 개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UN 해양과학 10개년 계획 국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기관 선정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UN 해양과학 10개년 계획 국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기관 선정 KIOST, 해양 기후변화 위기관리를 위한 논의의 장 마련 KIOST, 해양 기후변화 위기관리를 위한 논의의 장 마련
많이 본 뉴스 지구 외핵 최상부의 새로운 모델? 1 지구 외핵 최상부의 새로운 모델?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몸에 착 감기는 햅틱 기술 2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몸에 착 감기는 햅틱 기술 세계 최대급 망원경인 전용 분광기 개발 3 세계 최대급 망원경인 전용 분광기 개발 방향 따라 색상 바뀌는 3D 프린팅 소재 개발됐다 4 방향 따라 색상 바뀌는 3D 프린팅 소재 개발됐다 우리 기술로 만든 실시간 남극 관측 시스템 5 우리 기술로 만든 실시간 남극 관측 시스템 그린란드에서 발견된 신종 물곰 6 그린란드에서 발견된 신종 물곰 남극 미세먼지, 어떻게 구름이 될까 7 남극 미세먼지, 어떻게 구름이 될까 포스트 AI 시대 핵심 신소재는? 8 포스트 AI 시대 핵심 신소재는? KAIST-IBS, 인공지능으로 북한 등 경제지표 추정하다 9 KAIST-IBS, 인공지능으로 북한 등 경제지표 추정하다 남해 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증가 추세 10 남해 연안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증가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