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87 블랙홀 그림자와 제트 '최초 동시 포착' M87 블랙홀 그림자와 제트 '최초 동시 포착'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이 M87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의 그림자와 강력한 제트를 최초로 동시에 포착했습니다. 더불어 사상 최초로 M87 블랙홀의 부착원반... 이웃집과학자 2023.04.27 00:43 아름다운 천체사진 아름다운 천체사진 한국천문연구원,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의 결과를 발표.이번 공모전에서는 총 294개 작품이 출품됐습니다. 이시우 씨의 ‘해파리 성운’이 대상을 차지했는데요. 아래 사진입니다.천체사... 이웃집과학자 2023.04.24 22:30
무선으로 심혈관 모니터링 실시간 가능 무선으로 심혈관 모니터링 실시간 가능 함예솔 2023.04.24 22:13 기계학습로 소행성 구성 성분 알아낸다 기계학습로 소행성 구성 성분 알아낸다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 문홍규 박사와 연세대학교 손영종 교수 공동연구팀은 천문연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관측자료와 자체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통해 4,528개 소행... 이웃집과학자 2023.03.31 15:32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이미지 검색, 데이터베이스, 추천 시스템, 광고 등의 서비스들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알리바바 등의 글로벌 IT 기업들에서 활발히 제공되고 있죠. 하지만 실... 이웃집편집장 2023.05.29 23:02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함예솔 2023.05.29 22:47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2호가 지난 5월 25일 18시 24분에 발사된 누리호에서 안전하게 분리되어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습니다. 그리고, 5월 2... 이웃집과학자 2023.05.29 22:02 세포 파우더 고기 기반 고단백 식품 개발 세포 파우더 고기 기반 고단백 식품 개발 연세대학교 홍진기 교수(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파우더 형태의 새로운 배양육인 고단백 세포 파우더 고기(cell powder meat)를 개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 이웃집편집장 2023.04.24 22:24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5월 21일(현지시간)부터 25일까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컨퍼런스(ISC High Performance 2023, 이하 ISC 2... 보도자료 2023.05.29 22:15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현장으로 직접 가서 과학 콘텐츠를 제작하며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는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가 5월 24일 고흥 나로 우주센터에서 '누리호 3호'의 발사를 공중파 뉴스 유튜브 ... 이웃집편집장 2023.05.20 21:19
지금까지 모두 틀렸다. 새로 밝혀진 비행기 양력 이론 지금까지 모두 틀렸다. 새로 밝혀진 비행기 양력 이론 이민환 2023.05.20 20:51 미국 대학 과학교육 트렌드는 무엇일까? 과학유튜버 지식인미나니, 미국 대학 방문기 미국 대학 과학교육 트렌드는 무엇일까? 과학유튜버 지식인미나니, 미국 대학 방문기 LA USC, LACC, UNIVERSITY OF MISSOURI미국 대학 교육 방향은 어디일까? 미국 대학 교육과 유학에 관한 이야기를 콘텐츠로 만들기 위해 미국 LA USC와 ... 이민환 2023.05.06 20:36 수소 생산 효율 높일 다공성 탄소 전극 개발 수소 생산 효율 높일 다공성 탄소 전극 개발 수소 생산의 가격 경쟁력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공성 탄소 기반 전극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권오중 교수(인천대학교), 김명준 교수(경희대학교... 함예솔 2023.05.01 21:59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 바이러스 싹둑!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 바이러스 싹둑! 이웃집과학자 2023.05.01 21:24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암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꼽히죠. 최근의 암 연구 중에서 가장 많은 진전이 있었던 분야는 암 환자가 갖고 있는 면역체계를 활용해 암을 극복하는 면역 항암치료... 이웃집과학자 2023.04.30 14:51 ‘뇌 질환 치료제’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찾았다! ‘뇌 질환 치료제’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찾았다! UNIST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주진명 교수 연구팀이 인공 혈액-뇌 장벽 칩을 이용해 뇌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혈액-뇌 장벽 투과 압타머(Aptamer)’를 개발했습니... 함예솔 2023.04.30 14:38 곤충 눈을 모사한 초고속 동작 인식 광센서 곤충 눈을 모사한 초고속 동작 인식 광센서 이웃집과학자 2023.04.30 14:30 저온·저압으로 고성능 암모니아 합성법 개발 저온·저압으로 고성능 암모니아 합성법 개발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팀은 칼륨 반응 촉진제를 활용한 기계화학적 암모니아 수율 향상법을 개발했습니다. 암모니아(NH3)는 질소와 수소가 화학 반응으로 합성되는 물질... 이웃집과학자 2023.04.30 14:11 이미지없음 수면 중 뇌혈류 조절하는 핵심 뉴런(Neuron) 찾았다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 뇌는 완전히 쉬지 않는데요. 놀랍게도 깨어있을 때보다 뇌혈류가 더 증가합니다. 이는 뇌의 노폐물을 제거해 치매 방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수면 중에 오히려 뇌혈류가 증가하는 정확한 원리는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최근,... 이웃집과학자 2023.04.29 11:55 바다·호수·강에서 그린수소 생산 바다·호수·강에서 그린수소 생산 이웃집편집장 2023.04.29 11:46 거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기반 줄기세포 분화 기저 규명 거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기반 줄기세포 분화 기저 규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예일대학교, UCSF, 워싱턴대학교의 연구진은 다기능성 분화 줄기세포 (Multipotent progenitor 3,MP... 이웃집과학자 2023.04.26 23:04 방류수 내 질병 유발 중금속 검출 센서 개발 방류수 내 질병 유발 중금속 검출 센서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비스무스 나노플레이트(Bismuth nanoplate, 이하 BiNP)[1]와 나피온(Nafion)[2]을 이용하여 수돗물과 방류수 등 수질 환경에서 질... 함예솔 2023.04.26 12:43
O P I N I O N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수천억짜리 누리호를 계속 발사하는 이유는 뭘까? 수천억짜리 누리호를 계속 발사하는 이유는 뭘까?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미국 대학 과학교육 트렌드는 무엇일까? 과학유튜버 지식인미나니, 미국 대학 방문기 미국 대학 과학교육 트렌드는 무엇일까? 과학유튜버 지식인미나니, 미국 대학 방문기
많이 본 뉴스 지금까지 모두 틀렸다. 새로 밝혀진 비행기 양력 이론 1 지금까지 모두 틀렸다. 새로 밝혀진 비행기 양력 이론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2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수천억짜리 누리호를 계속 발사하는 이유는 뭘까? 3 수천억짜리 누리호를 계속 발사하는 이유는 뭘까?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4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5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6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7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