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아픈 ‘패치형 백신’ 개발 안 아픈 ‘패치형 백신’ 개발 연세대학교 정형일 교수팀(생명공학과)이 기존 근육 주사를 이용한 백신 접종법의 통증 문제를 개선하고 효능을 극대화한 마이크로니들 기술 기반 패치형 백신을 개발했습니다. 백신이 함유... 이웃집과학자 2023.01.29 18:44 초기 은하단에서 풍부한 양의 은하단내광 검출 초기 은하단에서 풍부한 양의 은하단내광 검출 연세대학교 지명국 교수 연구팀이 나사(NASA)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초기 은하단에서 떠돌이별이 만들어내는 은하단내광을 검출했습니다. 이를 통해 떠돌이별이 우주 초기에 다량으로 ... 이웃집과학자 2023.01.07 20:41
꼭 봐야하는 '2023 천문현상' 꼭 봐야하는 '2023 천문현상' 이웃집과학자 2022.12.28 13:32 벽과 천장을 걸어다니는 사족 로봇 벽과 천장을 걸어다니는 사족 로봇 KAIST 기계공학과 박해원 교수 연구팀이 철로 이뤄진 벽면과 천장을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사족 보행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박 교수 연구팀은 전자기력을 온-오프(on-off... 이웃집편집장 2022.12.26 23:46
양자컴퓨터용 반도체 소자 개발 양자컴퓨터용 반도체 소자 개발 KAIST 김상현 교수팀(전기 및 전자공학부)이 기존 CMOS* 기반 로직 소자**의 한계를 극복할 3차원 로직 소자와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 및 회로기술을 개발... 이웃집편집장 2023.01.31 20:59
상용화 삼박자 갖춘 태양전지 탄생 상용화 삼박자 갖춘 태양전지 탄생 이웃집과학자 2023.01.31 20:52 ‘1천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를 포착하다! ‘1천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를 포착하다! ‘1천조 분의 1초’ 동안에 일어나는 찰나의 변화를 직접 관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법이 성공적으로 구현됐습니다. UNIST 화학과 권오훈 교수팀은 국내 유일의 ... 이웃집편집장 2023.01.29 18:36 마스크 기반 초박형 렌즈리스 카메라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마스크 기반 초박형 렌즈리스 카메라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이승아 교수 연구팀은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욱 교수 연구팀과 협업 연구를 통해 렌즈리스 카메라 기술의 핵심인 신규 광학소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 이웃집과학자 2023.01.27 20:59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기전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기전 대기오염이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오랫동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됐습니다. 다양한 대기오염 물질 중에서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한 1군 발암물질입니다. 질병률과 사... 함예솔 2023.01.31 20:28 KAIST, 폐암 전이를 막고 치료 가능한 세포로 되돌리는 원천기술 개발 KAIST, 폐암 전이를 막고 치료 가능한 세포로 되돌리는 원천기술 개발 암은 대표적 만성 난치성 질환입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등으로 인해 최근 암 발병률 및 이로 인한 사망이 급증하고 있죠.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의생명과학자들의 집중적인 ... 함예솔 2023.01.31 20:19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세포선별 시스템 개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세포선별 시스템 개발 이웃집과학자 2023.01.28 16:17 실시간 나노 측정이 가능한 3D 표면예측 기술 실시간 나노 측정이 가능한 3D 표면예측 기술 KAIST 기계공학과 이정철 교수 연구팀이 현미경 사진을 이용해 나노 스케일 3D 표면을 예측하는 딥러닝 기반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물리적 접촉 기반으로 나노 스케일의 표면 형상... 이웃집과학자 2023.01.28 16:11 30% 향상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30% 향상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이 POSTECH 한정우 교수 연구팀, LG에너지솔루션 차세대전지연구센터(센터장 손권남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와... 이웃집과학자 2023.01.28 16:07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도 발견 가능 할까?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도 발견 가능 할까? 이웃집과학자 2023.01.27 20:48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는 단백질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는 단백질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DNA의 복구 활성을 조절하고 세포의 방어 시스템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찾아냈습니다. 이번 연구는 악성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인 염색체 불안정성을 효과적으... 함예솔 2023.01.27 20:43 고위도에 살수록 자살 유병률 증가 고위도에 살수록 자살 유병률 증가 일조량 감소는 기분장애·우울감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자살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감정을 조절하는 세로토닌·멜라토닌 등의 호르몬 분비가 햇빛이 뇌에 주는 자극과 관련이 있기... 함예솔 2023.01.27 20:25 이미지없음 이웃집편집장 2023.01.25 22:08 보안주의! 핸드폰소액결제,신용카드 현금화 보안주의! 핸드폰소액결제,신용카드 현금화 학생과 노인을 대상으로 휴대폰 결제를 유도하고 금품을 갈취하는 범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액결제란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금액을 지불하는 방식인데요. 핸드폰이나 선불카드... 보도자료 2023.01.07 21:09 항바이러스 면역 증진 기능성 유산균 찾아내 항바이러스 면역 증진 기능성 유산균 찾아내 연세대학교 변상균 교수(생명공학과) 연구팀이 면역 세포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유산균을 발굴하고 이의 효능과 작용 기전을 규명했습니다. 바이러스가 우리 몸속... 함예솔 2022.12.31 22:39 이차전지 성능 높일 새로운 구조체 개발 이차전지 성능 높일 새로운 구조체 개발 이웃집편집장 2022.12.31 14:39 종양 속 T 세포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PD-1의 역할 규명했다 종양 속 T 세포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PD-1의 역할 규명했다 연세대학교 하상준 교수(생화학과), 이인석 교수(생명공학과) 연구팀(연세대 김명준 박사, 김경수 박사)팀이 종양 미세환경 내 조절 T 세포 표면에 발현한 PD-1 단백질이 조절 T... 이웃집과학자 2022.12.31 14:30 한국재료연구원 '2022년 우수 연구성과 탑3' 발표 한국재료연구원 '2022년 우수 연구성과 탑3'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이하 재료연)은 2022년 「올해의 KIMS Materials 뉴스 Top3」를 선정했습니다. 이번 올해의 우수 ... 이웃집편집장 2022.12.29 23:18
O P I N I O N 보안주의! 핸드폰소액결제,신용카드 현금화 보안주의! 핸드폰소액결제,신용카드 현금화 한국재료연구원 '2022년 우수 연구성과 탑3' 발표 한국재료연구원 '2022년 우수 연구성과 탑3' 발표 한국 슈퍼컴 성능/대수 모두 전세계 8위 한국 슈퍼컴 성능/대수 모두 전세계 8위 바다위․바닷속 독도, 울릉도를 만나다 바다위․바닷속 독도, 울릉도를 만나다
많이 본 뉴스 마스크 기반 초박형 렌즈리스 카메라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1 마스크 기반 초박형 렌즈리스 카메라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상온에선 반도체, 저온에선 금속인 새로운 탄소 소재 2 상온에선 반도체, 저온에선 금속인 새로운 탄소 소재 30% 향상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3 30% 향상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4 AI 챗봇 '심심이', 코로나19 불안감 해소 도왔나? 소변으로 암 진단? 5 소변으로 암 진단? 바이오경제를 이끌어가는 대사공학 30년 역사와 미래 6 바이오경제를 이끌어가는 대사공학 30년 역사와 미래 고위도에 살수록 자살 유병률 증가 7 고위도에 살수록 자살 유병률 증가 실시간 나노 측정이 가능한 3D 표면예측 기술 8 실시간 나노 측정이 가능한 3D 표면예측 기술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도 발견 가능 할까? 9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도 발견 가능 할까?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는 단백질 10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는 단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