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들쥐가 서로를 껴안는 이유
초원들쥐가 서로를 껴안는 이유
  • 박연수
  • 승인 2017.06.08 21:32
  • 조회수 8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랑할 줄 아는 초원들쥐

 

미국 애틀란타 에모리 대학(Emory University)의 생물학자 로버트 리우 교수는 초원들쥐의 관계, 애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진은 초원들쥐의 신경회로를 조사해 그들의 사회 유대에 숨겨진 원리를 밝혀냈는데요. 연구 결과, 초원들쥐가 자신의 파트너를 껴안는 행위는 인간이 포옹하는 것과 같은 이유였습니다. 즉, 애정표현을 위한 행동이었죠.

 

초원들쥐?

안녕 나는 초원들쥐야. 프레리 들쥐라고도 해. 출처:  Roger W. Barbour
안녕 나는 초원들쥐야. 프레리 들쥐라고도 해. 출처: Roger W. Barbour

초원들쥐는 프레리밭쥐 혹은 프레리들쥐(prairie vole)라고도 부릅니다. 이충헌 저 <행복한 인간관계의 답이 숨어있는 성격의 비밀> 책에 따르면 이 쥐는 중앙 북미에서 발견되는 작은 들쥐입니다. 이 들쥐는 몸의 상단 부분에는 길고 굵은 잿빛의 갈색 털을 가지고 있고, 몸의 아래 부분에는 노란 털이 나 있죠. 몇 안 되는 일부일처제 포유류입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에모리 대학의 생물학자 로버트 리우 부교수는 “우리는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며 뇌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연구하려 했다”며 “이런 체계를 연구하기 위해 초원들쥐를 대상으로 삼았다”고 말했습니다.

 

1. 첫번째 실험: 뇌의 활동 기록

 

연구진은 두 종류의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는 뇌의 활동을 기록하여 초원들쥐 간의 애정과 관련지어 분석하는 방법이었죠. 

 

리우 부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첫 번째 실험에서 초원들쥐가 서로 껴안기 시작하자 인간이 포옹할 때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초원들쥐의 포옹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상대방에 대한 친근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히히 좋아해…♥. 출처 : Zack Johnson
히히 좋아해…♥. 출처 : Zack Johnson

대부분의 설치류는 자신의 파트너에게 무관심해진다고 해요. 반면 일부일처제인 초원들쥐는 달랐죠. 리우 부교수는 초원들쥐는 서로 유대관계를 형성하면서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이 포옹의 횟수를 늘려주는 이유라고도 말했죠.

 

두 번째 실험: 신경회로 조작

 

연구진의 두 번째 실험은 좀 더 교묘한 방법이었습니다. 초원들쥐의 신경회로를 조작해 특정 뉴런만을 사용하거나 억제하는 ‘광유전학’이라는 방법을 사용한거죠. 또 광유전학 방법에서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뉴런에 넣었습니다. 이를 통해 한 초원들쥐가 다른 초원들쥐에게 빠르게 사랑에 빠지도록 했습니다.

 

리우 부교수는 “사회적 관계를 맺을 때 뇌안에서 어떤 신경학적 활동이 일어나는지 알고 싶었다”며 “뇌에 있는 옥시토신과 도파민 같은 신경 화학물이 유대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심쿵… 출처 : Todd Ahern
심쿵… 출처 : Todd Ahern

리우 부교수는 이 실험을 통해 사람을 사랑에 빠지게 할 수 있다는 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단지 우리가 상대에 대해 갖는 기분이 행복한 이유를 알 수 거라 말했죠. 그리고 이렇게 다른 포유류의 사회적 유대감의 형성을 연구하면 조현병을 앓는 사람 등 사회적 유대감이 부족한 사람을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도 설명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