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가 인간의 반려동물로 큰 사랑을 받는 이유로 인간과의 소통 능력이 꼽힙니다. 관련 연구를 잠깐 볼까요?

포츠머스 대학(University of Portsmouth's) 개 인지센터(Dog Conition Center) 줄리안느 카민스키(Juliane Kaminski) 박사는 사람이 있을 때와 없을 때 강아지의 얼굴 표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이 연구는 'Human attention affects facial expressions in domestic dogs'이란 제목으로 <SCIENTIFIC REPORTS>에 실리기도 했는데요.
개의 표정 변화는 인간의 시선을 인지하는 상황에서 인간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게 핵심입니다.

카민스키 박사는 다양한 연령과 종의 강아지 24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했습니다. 강아지들의 표정 변화가 나이나 종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모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걸 증명하기 위해서였죠. 강아지들의 표정 변화는 'DogFacs'라는 코딩 시스템을 사용해 분석했습니다.
사람이 쳐다볼 때와 쳐다보지 않을 때 개들의 표정 변화를 통해 얼굴 근육들의 달라짐을 기록하고 관찰했죠. 먹이의 유무는 강아지의 표정 변화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습니다. 사람이 있을 때와 없을 때 영향을 미쳤죠.
특히 눈썹을 올리거나 눈을 더 크게 뜨는 행동은 사람들이 있을 때 하는 행동이라고 합니다. 또한 사람들이 있을 때 주로 혓바닥을 길게 내밀거나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그동안 개의 행동을 분석해 인간과 소통하는 개의 몸짓 언어를 분석한 사례는 많았는데 특정 표정에 대해 분석한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길을 가다가 강아지를 만나면 어떤 표정을 짓고 있는지 괜스레 눈이 갈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