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말이 어렵긴 하지만 '과학대중화'는 사실 사람들과 과학을 친근한 사이로 만들어주는 모든 활동을 가리킵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이라고도 부르죠. <이웃집과학자> 같은 과학대중 전문 매체를 비롯해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과학자의 강연이나 책, 유튜브 콘텐츠, 영화 등으로 과학대중화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과학박물관 전시도 과학대중화를 알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자연사박물관은 자연의 역사를 다룹니다. 생물학적, 지질학적 사실에 관한 증거와 기록 등 자연에 대한 전반적인 자료를 보존하고 연구해 사람들에게 전시합니다.
자연사박물관은 인류가 등장하기 전 지구가 어떻게 탄생하고 변화했는지 그리고 어떤 생명체들이 살았거나 멸종했는지 보여줍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자연의 역사 중 '멸종'의 역사를 강조합니다. 인류가 나오기 전 수많은 생명체들이 출현하고 멸종했는데요. 박물관은 이는 모두 자연의 흐름이며 인류도 이 흐름의 결과로 등장했다는 배경을 토대로 구성됐습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국내 최초로 공공기관이 설립한 자연사박물관입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과학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알아보고자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이강환 관장을 만나봤습니다.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천문학, 그 중에서 천체역학을 공부했습니다. 천체역학에서는 구상성단이 어떻게 움직이고 깨지는지 그 과정들을 공부했죠.
저는 박사학위를 받고나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일했습니다. 국립과천과학관에 천문 시설이 많아 천문학 전공자를 모집하고 있었거든요. 국립과천과학관이 만들어진 이후 저는 과천과학관에서 10년 간 근무했고 서대문자연사박물관으로 오게 됐습니다.
과학대중화에 관심이 많은 듯 한데?
15년 전에는 과학대중화가 유행하지 않았습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저한테는 맞는 일이었지만 그 당시에는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길이 없었으며 있다는 것도 몰랐거든요. 학교나 연구소로 가지 않고 박물관에서 일하게 된 것은 저에게 큰 우연 중 하나였습니다.
'멸종'의 역사를 강조하던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
자연사박물관은 단순히 표본만 보는 곳이 아닌 자연의 역사를 다루는 곳입니다. 지구에서는 다양한 생명체들이 있으며 그 중에서는 멸종한 생명체도 있습니다. 그런 과정이 모두 진화의 과정이며 자연의 큰 흐름입니다. 사람도 자연의 큰 흐름 속에 있는 작은 일부일 뿐이죠. 자연사박물관은 자연의 큰 흐름을 이해하자는 취지를 담았습니다.
과학대중화를 위해 가장 힘쓰는 부분은?
OECD 국가들 중에서 '국립'자연사박물관이 없는 나라는 한국과 멕시코 밖에 없습니다. 그마저도 멕시코는 자연사박물관이 없을 뿐이지 자연사박물관 역할을 하는 국립 박물관이 있습니다. 한국에 있는 국립 박물관 중에서는 자연의 역사를 쭉 다루는 박물관이 없습니다. 굉장히 문제가 있는 부분이죠.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정부에서 세운 한국 최초의 자연사 박물관입니다. 사실상 국립자연사박물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연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모두 다뤄야 합니다. 다른 박물관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기 때문에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은 특정한 분야에 집중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 분야를 골고루 다 넣으려고 노력합니다. 그래서 언제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자각하고 있습니다.
강연이 눈에 띕니다.
맞습니다. 저희 박물관은 성인 대상 과학 강연을 꾸준히 하습니다. 대부분의 과학 강연은 어린이 대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저희 자연사박물관은 8년 전부터 성인을 대상으로한 강연을 매주 목요일마다 진행했습니다. 이런 과학 강연이 성인 대상의 과학 문화를 만드는 데 크게 이바지했습니다.
강연은 천문학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강연은 우주 탐사 등 학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강연을 많이 합니다. 성인 대상의 강연으로 가면 우주와 생명을 연결시키는 내용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지구에서 생명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시작으로 우주론과 외계 생명체로까지 범위를 넓힙니다. 지구 생명체나 외계 생명체나 모두 우주에서 만들어진 존재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공통점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시야를 지구에서만 머무르지 말고 우주로까지 넓히자는 취지로 강연을 합니다.
한국의 과학대중화를 평가한다면?
최근 들어 과학대중화를 다루는 분야가 많아졌습니다. 지금은 과학대중화의 시기가 잡혀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발전하는 시기이며 기대가 되는 시기죠. 우리나라의 과학대중화는 5~6년 사이에 크게 발전한 것으로 보입니다. 과학대중화를 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젊고 능력있는 과학 전공자들 중에서 자신의 계획을 과학대중화 쪽으로 잡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저희 세대에는 그런 사람들이 없었거든요.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제야 걸음마를 뗀 단계입니다. 한국에서 과학대중화가 나오는 이유는 지금의 우리나라가 나름대로 먹고 살 만하기 때문입니다. 아주 어려운 나라에서는 과학대중화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과학대중화로 경쟁할 수 있는 나라는 선진국들 밖에 없습니다. 선진국들은 과학대중화를 자연스럽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뉴욕타임스>에서는 과학 뉴스가 메인 언론의 헤드라인에 들어갈 정도죠.
과학대중화를 위한 제언?
대중과 소통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들끼리만 교류하면 과학이 전문가들에게는 자연스러운 얘기겠지만 대중들에게는 낯설 뿐이죠. 대중들과 많이 소통을 해야 사람들이 무엇을 모르고 알고 싶은 건지 알 수 있습니다.
젊은 세대들의 노력이 과학대중화에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과학 매체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40~50대입니다. 과학 유튜브의 주 고객층도 40~50대 사람들이며 과학책도 젊은 세대보다 40~50대 사람들이 더 많이 구매하죠. 젊은 사람들도 과학 책을 많이 썼으면 좋겠습니다. 책을 쓴다고 하면 학위가 있는 전문가만 쓴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학위가 없어도 좋아하는 분야에 푹 빠진다면 누구나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는 아직도 과학이 어렵고 거리감이 있는 분야라는 편견이 존재합니다. 인문이나 예술에 관심을 보인다면 고상하다고 느끼지만 과학에 관심을 보이면 특이하다고 취급하죠. 과학이 하나의 취미 또는 교양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편견을 깨는 것이 과학대중화의 큰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강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은...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동대학원에서 천문학 석사와 박사를 취득했습니다. 영국 켄트대학에서 <로열 소사이어티 펠로우>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2005년부터는 미래창조과학부 국립과천과학관 추진기획단을 시작으로 10여년 간 연구사와 연구관으로 재직했습니다. 이후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관장으로 취임했습니다.
저서로는 <신기한 스쿨버스 시리즈>,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우리는 모두 외계인이다>, <우리 안의 우주>가 있으며 저서로는 <우주의 끝을 찾아서> 외에도 <외계생명체 탐사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