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에서 작동하는 섬유형 태양전지 개발
극한에서 작동하는 섬유형 태양전지 개발
  • 함예솔
  • 승인 2020.12.17 07:55
  • 조회수 1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재료연구원(KIMS) 표면재료연구본부 송명관 박사 연구팀과 ㈜CEN 연구총괄책임자인 한상철 박사는 부산대학교 이형우 교수, 한국항공대학교 신명훈 교수와 함께 은(Ag) 입자가 포접된 다공성(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구상입자를 이용해 극한환경에서도 작동하는 고효율의 고체 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본 연구는 <Nano Research>에 게재됐습니다. 

나노 리서치(Nano Research) 표지논문 그림. 출처: 재료연구소
나노 리서치(Nano Research) 표지논문 그림. 출처: 재료연구소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태양전지

 

전하수송층인 다공성-이산화티타늄(TiO2) 층은 비표면적(표면적/부피)이 높아 광활성층인 염료의 흡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밴드갭(Eg = 3.2 eV)으로 인해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 수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밴드 갭(Band Gap)

반도체와 절연체에서, 가전자대와 전도대 간에 있는 전자상태 밀도가 제로로 되는 에너지 영역과 그 에너지 차를 말합니다. 밴드 갭의 대소로 그 물질의 전기 전도성 정도가 결정됩니다.

연구팀은 이를 보완하고자 광촉매가 합성된 전하수송층 소재 개발에 집중했습니다. 연구팀은 다공성-이산화티타늄 층에 은(Ag)이 내장돼 있는 이산화규소(SiO2) 나노입자를 합성해 국부적 표면 플라스몬 공명(LSPR,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을 통해 향상된 광 수확과 전하수송 효과를 얻었습니다. 이를 통해, 고체섬유형 태양전지의 실험군 대비 약 36% 향상시킨 5.3% 이상의 광전변환효율(PCE, Power Conversion Efficiency)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금속-공기 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 플라스몬 모식도. 출처: 재료연구소
금속-공기 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 플라스몬 모식도. 출처: 재료연구소

앞서 연구팀은 롤투롤 공정이 가능한 고체전해질을 활용한 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한 바 있었는데요. 또한 태양전지의 핵심소재인 다공성-이산화티타늄(TiO2) 전하수송층에 은(Ag)이 내장돼 있는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 나노입자를 이용해 태양전지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고체 타입의 섬유형 태양전지를 구현하는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식도; SS EL:고체상태 전해질, IL:중간층, WE:작업전극. 출처: 재료연구소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식도; SS EL:고체상태 전해질, IL:중간층, WE:작업전극. 출처: 재료연구소

고성능 및 고안정성 고체 타입의 섬유형 태양전지 산업은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비용과 가공의 용이성, 소재의 유연성과 다양성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미래 웨어러블 및 프린터블 시장 등으로 대표되는 유비쿼터스 태양전지 시대를 선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기술은 낮은 단가와 간단한 합성방법을 이용해 대량생산뿐만 아니라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은(Ag)이 내장돼 있는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 나노입자를 이용해 극한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섬유형 태양전지입니다. 

개발된 섬유형 태양전지의 향상된 광전변환효율 전류밀도-전압 그래프. 출처: 재료연구소
개발된 섬유형 태양전지의 향상된 광전변환효율 전류밀도-전압 그래프. 출처: 재료연구소

연구책임자인 한국재료연구원 송명관 책임연구원은 "극한환경에서도 안정한 고체 타입의 섬유형 태양전지 구현을 위해, 전하수송층 개발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며 "향후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접목시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장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기술의 핵심 소재를 개발한 CEN의 한상철 박사는 "세계 최초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MSNs)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CEN의 SMBTM기술을 통해서 태양광 발전효율에 획기적인 기틀이 마련되기를 바라며, 4차 산업과 우리 정부가 추구하는 재생에너지 및 2050 탄소중립 비전 정책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