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물고기의 뇌파, 동시에 측정
여러 물고기의 뇌파, 동시에 측정
  • 함예솔
  • 승인 2020.06.22 14:35
  • 조회수 23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GIST 로봇공학전공 김소희 교수 연구팀이 여러 마리 성체(成體) 제브라피쉬의 뇌파를 동시에 측정하는 기술 개발했습니다. 이를 활용한 뇌전증 치료약의 효과 검증에 성공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게재됐습니다. 

 

한 마리의 뇌파만을 측정할 수 있던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로 향후 뇌신경계 질환 치료에 쓰이는 신약 후보물질 연구의 정확도와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브라피쉬, 신약 후보물질 연구에 쓰이는 이유

 

제브라피쉬는 척추동물로, 인간과 70% 유사한 유전정보와 생체기관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약 개발 단계 중 첫 단계로 세포를 대상으로 한 기초연구단계와 다음 단계인 설치류 대상 비임상시험 단계 사이에 사용될 동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제브라피쉬. 출처: AdobeStock
제브라피쉬. 출처: AdobeStock

이러한 제브라피쉬를 여러 마리 활용하면 투입된 약물이 주는 영향을 신속하고 정확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효과 있는 신약 후보물질을 초기에 스크리닝 할 수 있어 연구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러 마리의 제브라피쉬 뇌파 측정가능

 

이에 김 교수팀은 성체 제브라피쉬 여러 마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고정유닛과 약물 주입·교환 유닛이 결합된 장치를 고안해 환경 변화 없이도 약물 교환과 연속적인 뇌파 측정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여러 마리 제브라피쉬에서의 뇌파 동시 측정 방식. 출처: DGIST
여러 마리 제브라피쉬에서의 뇌파 동시 측정 방식. 출처: DGIST

이를 통해 여러 마리에서 장시간의 비침습적 비침습적 검사(Noninvasive), 즉 인체에 고통을 주지 않고 실시하는 검사( X-선, 에코-EKG, EEG, 초음파 등)로 뇌파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는 한 번에 제브라피쉬 한 마리만의 뇌파 측정이 가능하던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겁니다.

측정된 뇌파 신호의 예시. 출처: DGIST
측정된 뇌파 신호의 예시. 출처: DGIST

또한 김 교수팀이 개발한 방식은 유닛을 손쉽게 확장 가능해 동시 측정 가능 개체 수를 손쉽게 늘려줍니다. 뇌파 측정 후 제브라피쉬를 다시 수조로 돌려보내 장기간의 추적 관찰도 가능합니다.

 

약물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 크게 단축될 듯

 

김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한다면 향후 제브라피쉬의 장점을 극대화한 신약 개발·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뇌신경계 질환 치료에 쓰일 수 있는 여러 후보약물들을 여러 마리의 제브라피쉬에 동시에 투입해 그에 따른 뇌파 반응을 연구하는데 있어 정확도와 효율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여러 약물을 시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그 중 효과가 나타나는 약물들을 선별하는 초기 스크리닝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로봇공학전공 김소희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뇌전증이나 수면 장애, 자폐증 등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의 초기 스크리닝 단계에 활용할 수 있다"며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뇌파의 약점을 극복하고, 정확도가 높다는 뇌파의 장점을 바탕으로 약효 관련 연구를 진행할 수 있어 향후 후보물질 초기 스크리닝 단계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